공립교육청
사립학교
IGE
bc 주 8학교년 사회 교재 pathway 챕터 2 > 세컨더리-자료실 | 행복한교육 IGE 캐나다조기유학

세컨더리-자료실

학업관리 bc 주 8학교년 사회 교재 pathway 챕터 2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IGE
댓글 0건 조회 63,274회 작성일 23-11-02 10:26

본문

Chapter 2: Europe’s High Middle Ages (pg: 37-68)


ce300f589aedafbe84dfa6bfa84ecfd6_1698891382_2097.jpg
 


Tip: 전반적인 유럽 중세기 (1066-1300)에 관한 내용으로 봉건주의의 발전, 내용, 생활과 중세 시대의 종교의 중요성, 십자군 전쟁 등을 다룬 내용 (유럽의 중세기는 early, high, late age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Introduction (pg: 44)


Vocabulary:

Battle of Hastings: 헤이스팅스 전투 (1066년 잉글랜드에 상륙한 노르망디 공의 군대와 잉글랜드 왕 헤럴드의 군대가 헤이스팅스에서 벌인 노르만 정복 때의 전투

Milestone: a significant event or stage in the life, progress, development 이정표

Mount: to go up, climb, increase in amount or intensity 오르다, 증가하다, 시작하다

Longbow: a large bow drawn by hand, as that used by English archers

William the Conqueror: 정복자 윌리엄 (잉글랜드의 왕 윌리엄 1세)

Reorganization: 재편성, 개편

Feudalism: the legal and social system that evolved in Western Europe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in which vassals were protected and maintained by their lords, usually through the granting of fiefs, and were required to serve under them in war 봉건주의, 봉건제도

Loyalty: faithful adherence to a sovereign, government, leader 충실, 충성

Serf: a person in a condition of servitude, required to render serviced to a lord 농노

Arrangement: a final settlement, adjustment by agreement 준비, 마련, 정리, 배열

Knight: a mounted soldier serving under a feudal superior in the Middle Ages 기사

Crusade: any of the military expeditions undertaken by the Christians of Europe in the 11-13th centuries for the recovery of the Holy Land from the Muslims 십자군 전쟁

Monumental: of historical or enduring significance 기념비적인, 엄청난

Self sufficient: able to supply one’s own or its own need without external assistance 자급자족할 수 있는, 자급자족하는, 자급자족 경제


Battle of Hastings (헤이스팅스 전투)는 역사상 2개의 중요한 사건을 만들게 된다. 하나는, 서유럽에서 말을 타고 다니는 기사들이 제일 강력한 군인으로 거듭되게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노르망디 봉건제도(Norman feudalism)를 세우며 사회의 기반을 다시 정리한 것이다. 노르망디 봉건제도는 사회 시스템을 땅, 종교 그리고 충실 (충성)로 인해 결정짓는 것이었다. 봉건제도에 핵심 포인트는 영주였다. 그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주들을 위해 일하는 농부들이었고, 그 영주들은 교회 그리고 종교적인 생활로 인하여 농부들에 대한 태도들이 바뀌었다. 새로운 법도와 법률로 인하여 사람들은 평화 속에 살게 되었다. 봉건제도는 한마디로 군사적 동의 같은 것이었다. 영주들은 자신들의 재산을 기사들에게 바쳤으며, 기사들은 자신들의 군사로 영주와 그의 재산들을 보호해주였다. 하지만 후기 십자가 전쟁을 통하여 기사들과 평범한 시민들은, 자신들이 속한 법률제도 이외의 것들을 보았고 이 전쟁은 나중에 유럽 전체를 흔들어 놓는다.


William the Conqueror and the feudal system (pg: 44-45)


Vocabulary

Familiar: well-acquainted, thoroughly conversant (be familiar with) 익숙한, 친숙한

Armoured: having a protective covering, such as armour or bone 장갑을 두른, 장갑한

Immediately: without lapse of time, without delay, at one 즉시, 즉각, 하자마자

Landowner: an owner or proprietor of land 토지 소유자, 지주

Suppress: to put an end to the activities of, abolish, stop 진압하다, 금하다


정복자 윌리엄(William the Conqueror)은 영국을 지배하며 자신이 살던 노르망디 지역에 있는 봉건제도를 도입하였다. 기사들은 자신들의 군사를 키우기 위해 큰 땅이 필요하였고, 윌리엄 왕은 그것을 알기에 패배한 영국인 백작들의 땅들을 노르망디 기사들에게 나누어주었다. 노르망디 봉건제도는 원래 잉글랜드에 존재하던 법률과 달라, 처음에는 농노와 지주들은 이를 극히 반대하였지만 윌리엄 왕은 이것을 힘으로 제압하였다.


The Feudal contract (pg: 45-46)


Vocabulary

Wealth: a great quantity of money, valuable possessions 부, 재산, 부유함

Noble: 고결한, 고귀한, (집합적으로) 귀족 (nobles)

Exchange: to replace with an equivalent or something else 교환하다, 맞바꾸다, 교환

Oath: a statement or promise strengthened by such an appeal 맹세, 서약, 선서

Swore: swear의 과거, to bind oneself by oath 맹세하다

Parcel: to divide into or distribute in portions 나누다, 포장하다, 소포, 꾸러미

Faithful: strict or thorough in the performance of duty 충실한, 충성스러운

Obligation: something by which a person is bound or obliged to do certain things 의무

Perform: to carry out, execute, do 수행하다

Dispute: a debate, controversy, to engage in argument 분쟁, 논란, 반박하다

Seal: to affix a seal to in authorization, to assure, confirm 밀봉하다, 확인하다

Allegiance: loyalty 충성

Vassal: a person granted the use of land in return for rendering homage, fealty, and usually military service 봉신 (봉건 군주에게서 영토를 받은 신하), 속국

Contract: a formal agreement 계약

Parties: 당사자 (both parties: 양 당사자)

Baron: a member of the lowest grade of nobility 남작

Tenant: a person that rents and occupies land, a house 세입자, 임차인, 소작인

Lord of the manor: the tenant of a noble, who has the inherited right to run a manor and profit from it 장원의 영주 (세습 받은 땅을 운영하고 수익을 얻는 귀족, 영주)

Freeholder: a person who owns his or her land 자유 보유권자, 자작농

Virtually: for the most part, almost wholly 사실상, 거의


윌리엄 왕이 세운 봉건제도는, 요약하자면 “three Fs”라고 부른다: ‘Fief (land, 땅), fealty(loyalty, 충성심), and faith(믿음). 봉건제도에 의하면 땅의 넓이가 한 사람의 재산을 측정하게 된다, 대부분의 땅들은 기사들에게 주어지는 반면, 기사(귀족)들은 왕에게 충성심을 보여주면 되는 것이다. 군주는 영국의 땅을 나누어 각각 기사들에게 알맞은 크기를 주었고, 이에 대해 기사들은 몇 가지 의무 사항을 지켜야 했다. 첫째는 귀족들은 일년에 40일정도 왕의 군대아래서 훈련을 해야 했다. 둘째, 귀족들은 전쟁 시 왕에게 더 많은 기사들을 내주어야 했다. 셋째, 귀족들은 왕이 정치적인 결정을 내릴 때 옆에서 조언을 해주어야 했고, 마지막으로 귀족들은 특별한 날에 왕에게 재물을 바쳐야 했다. 이것들을 지킴으로써 귀족들은 왕으로부터 보호와 공평성 (같은 대우)을 얻었다. 이러한 관계는 귀족들이 서약(oath of allegiance)을 하면서 이루어졌다. 이러하므로 귀족들은 왕의 가신이 되었고, 낮은 직급에 있는 귀족들은 높은 직급에 있는 귀족의 가신이 되었다. 이것이 바로 봉건제도의 중심, 즉 계약체결이었다. 양쪽이 자신들의 가치에 맞게 산다면, 이 체결은 평화를 유지하기에 더할 나위가 없었다. 왕의 신하 중에서 상위 귀족(baron)은 자신들만의 신하들을 두었고, 또한 자신의 개인 영토 또한 소유하고 있었다. 귀족들은 자신의 소유지인 땅에서부터 나오는 모든 이익은 자신들이 챙길 수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땅들에서 농부(freeholder, serf)들이 일을 하게 하여 그로부터 이익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농부들은 영국 인구수의 90% 정도였으며 그들에게는 대부분의 권리가 주어지지 않았다. 자작농들은 적어도 자신들의 땅을 소유할 수 있었으며 단지 귀족들에게 일년에 적당한 돈을 내기만 하였다. 하지만 농노들은 귀족들에게 재물로 판단될 정도로 힘이 없었다. 하지만 귀족들은 그들에게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권한을 빼앗을 수는 없었다.


Medieval life and custom


The Manor (pg: 47)


Vocabulary

Medieval: of, pertaining to,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Ages 중세의

Manor: a landed estate or territorial unit, originally nature of a feudal lordship 영주의 저택

Pasture: an area covered with grass or other plants, grassland 초원, 목초지

Self-sufficient: independent 독립적인, 자급자족하는

Mill: a building equipped with machinery for grinding grain into flour and other cereal products 방앗간, 제분소, 공장

Blacksmith: a person who makes horseshoes and shoes horses (말발굽을 만드는) 대장장이

Tannery: a place where tanning is carried on 무두질 공장

Thatching: using special grass to make roofs for buildings 지붕 이기 (짚, 억새 등으로)

Fletching: fitting feathers on arrows 화살의 깃을 붙이는 것

Grind: to reduce to fine particles (곡식 등을 잘게) 빻다, 갈다

Demesne: lands set aside for the lord of a manor 장원에 딸려 있던 영지

Bailiff: the person who collected rents and supervised serfs and freeholders on a manor 토지 관리인, 집달관

Affair: anything done or to be done, an event or a performance 일, 문제, 행사


중세 유럽 때 많은 땅들은 여러 조각으로 나뉘었고, 이것을 manor라고 불렀다. 각 영주의 토지(manor)는 농사지을 수 있는 땅과, 숲, 초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마을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땅들은 스스로의 자원이 많아 다른 땅의 도움 없이 그 영토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식량을 주기에 문제가 없었다. 이 마을에는 교회, 공장, 대장장이의 가게, 무두질공장이 있었다. 각 마을에는 실력이 있는 사람들이 있었고 그들은 지붕을 덮는 나무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활을 만드는 것까지 각각 고유의 재능이 있었다. 대부분의 도시들은 강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였고, 그 이유는 바로 물을 이용하여 공장들에게 동력을 공급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부분 강 근처에는 건초 밭이 있었으며 이것은 겨울에 마을사람들에게 소중한 먹거리였다. 숲은 사람들이 장작을 구할 수 있는 곳이었으며 영주의 사냥터이기도 했다. 영주들은 마을의 일부분을 자신의 소유로 하고 오직 자기만이 이용하였고, 이 땅들은 정원과 다른 것들로 꾸며져 영주 집 근처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땅들은 자작농 들의 땅들이거나 아니면 땅이 없는 농부들이 땅을 빌리며 농사를 짓는 땅이었다. 몇 몇 영주들은 마을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만 쓰려고 하였지만, 이것을 관리하는 관리인(bailiff)이 있었고 이들은 세금을 걷고 일상 생활의 문제들을 돌보면서 평화를 유지하였다.



Ordinary people (pg: 50-51)


Vocabulary

Standard of living: a grade of level of subsistence and comfort in everyday life enjoyed by a community or individual 생활 수준

Donate: to present as a gift, grant, or contribution 기부하다, 기증하다

Strip: to deprive of covering 과일, 수목등의 껍질을 벗기다

Ploughing: 경운, 쟁기질, 농토를 일굼

Consume: to expend by use, use up 소모하다, 소비하다, 먹다, 마시다

Herring: an important food fish, a similar fish 청어

Manure: excrement, especially of animals, or other refuse used as fertilizer 거름



자작농들과 농노들은 사실상 마을의 대부분의 일들을 하였지만 이들은 마을에서 제일 낮은 위치에 있었다. 농노들은 재산 취급을 받았고 이들은 자신들의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었다. 이들은 일주일에 2-3일은 농토를 일구고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해야만 했다. 땅의 소유권은 없었지만, 일정 지역을 경작할 권리는 후손들에게 물려줬으며, 농노들은 자신들의 땅에서 난 곡물들을 영주에게 일부 바치고 자신의 가족들을 먹이면, 남은 곡물들은 자기들 마음대로 쓸 수 있었다. 이들 대부분은 자기들만의 자그마한 야채 농사를 짓거나, 가축들을 키우고 있으며 하루 평균 남자의 칼로리 섭취량은 5000이었다. 이들은 평소 맥주를 즐겨 마셨으며, 맥주 이외로는 우유를 즐겨 마셨다. 자작농들은 자신들의 땅을 가질 수 있었고, 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때에 일할 수 있었다.



Village homes


Vocabulary

Wattle and daub: woven sticks covered with clay or mud 초벽, 흙벽 (엮은 울타리에 진흙을 발라서 만든 허술한 벽)

Typical: conforming to a particular type 전형적인, 대표적인, 일반적인

Chimney: a structure, containing a passage or flue by which the smoke of a fire are carried off 굴뚝

Vermin: lice, fleas, and bedbugs 해충

Louse: a small, wingless insect that lives and feeds on mammals, including human beings 이, 기생충

Plumbing: 배관 (수도 시설), 배관 작업 (공사)

Existent: existing, having existence 존재하는, 현존하는

Stool: a single seat on legs or a pedestal and without arms or a back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의자, 스툴

Rough: having a coarse or uneven surface, as from projections 고르지 않은, 거친

Heaped with: 음식을 접시에 수북이 담다

Rare: coming or occurring far apart in time, unusual 드문, 진기한, 희귀한

Straw: a single stalk or stem, material, fibers 짚, 밀짚, 지푸라기


마을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진흙과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집들에서 살았다. 그들의 마을에는 불을 지필수 있는 곳이 따로 있었지만 각 집마다 굴뚝은 없었다. 대부분 한 가족은 더러운 한 방에 다같이 살았으며, 종종 그들의 가축들과 해충, 이들과 함께 지냈다. 집 내부에는 몇 개의 가구들만 존재하였다. 의자, 나무박스, 나무벤치, 집에서 만든 테이블, 이 정도가 다였다고 보면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주도 포함하여, 밀짚으로 만든 침대 위에서 잠을 청하였다.



Work and cooperation


Vocabulary

Share: the full or proper portion, to divide and distribute in shares 몫, 일부분, 나눠 갖다

Planting: an herb or other small vegetable growth, to put in the ground (나무 등을) 심기

Harvesting: the gathering of crops 수확, 거둬들이기

Wove: weave의 과거, to interlace so as to form a fabric or material (실, 천을) 짜다, 엮다

Seldom: on only a few occasions, rarely, infrequently 좀처럼 거의 … 않는

Cornstalks: the stalk or stem of corn 보릿짚, 옥수숫대

Flavour: taste, a substance or extract that provides a particular taste 풍미, 향미, 맛, 조미료

Cure: a means of healing or restoring to health, to restore to health 치유법, 낫게 하다

Benefit: something that is advantageous or good, to do good to 혜택, 이득, 보조금, 득이 되다, 이익을 얻다


중세 유럽 당시에는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제각각 맡은 일들을 하였다. 어린 학생들은 학교를 가는 대신 농사일을 도왔고, 아기가 있는 엄마들은 아이를 데리고 와 농사일을 하였다. 중세기 여자들은 대부분 자신들의 시간을 가족들의 옷과 음식을 만드는데 시간을 쏟았다. 여자들은 집에서 옷을 만들었고, 맥주를 만들고, 빵을 구웠으며, 식사를 준비하고 겨울을 위한 비상식량을 만들었다. 조부모들은 대부분 아이들을 보살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이 젊은 나이에 죽었기 때문이다. 여자들은 또한 땔감을 모아오고, 열매들과, 약에 쓰일 약초도 구해왔다. 대부분 중세기 남자들의 하루의 시작은 농사일이었다. 농노들은 자신의 땅들만이 아닌 영주들의 땅들도 일궈야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해가 떠서 질 때까지 일을 하였고, 영주들은 추수 같은 대규모 작업은 모든 사람들이 같이 일을 하게 하였다.


Lord and Lady of the manor (pg: 52-53)


The Manor House


Vocabulary

Compare: to examine in order to no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조사하다, 검토하다

Occupied: Occupy의 과거 to take or fill up, to engage or employ the mind, energy 차지하다, 사용하다, 점령하다

Elaborate: worked out with great care and nicety of detail 정교한, 정성을 들인

Rushes: to move, act, or progress with speed, to perform, accomplish 돌진하다, 서두르다, 골풀, 등심초

Comfortable: producing or affording physical comfort, more than adequate or sufficient 편한, 쾌적한, 편안한

Drafty: characterized by or admitting currents of air, usually uncomfortable 외풍이 있는, 통풍이 잘 되는

Privacy: the state of being free from intrusion or disturbance in one’s private life or affairs 혼자 있는 상태, 사생활


영주들은 평범한 시민들보다 편안한 삶을 살았다. 영주들의 집은 마을에서 제일 큰 것이었으며, 그들의 집안에는 종들이 영주들을 위해 일을 하였다. 그들의 집안에는 많은 방들이 있었으며, 손님들을 접대하는 용도로 이용되었다. 각 방에는 여러 가구들이 있었으며 겨울에는 춥지 않은 집이었다. 하지만 현재와 비교해 볼 때 이러한 집들도 우리에게는 불편하다. 물이 없고 화장실이 없었으며 난방도 없었다. 그리고 개인에게 허락되어 있는 개인공간도 적었다. 종들은 주인들 방 근처에서 잤으며, 중세기 사람들은 이러한 집에도 불편해하지 않았다.


The privileges


Vocabulary

Possess: to have as belonging to one, have as property 소유하다, 보유하다

Status: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in relation to another or others 지위, 위치

Falcon: a bird of prey 매

Troubadours: a medieval singer who wrote and sang poems about chivalry and love 음유 시인


영주들은 노예들의 도움으로 편안한 삶을 살았다. 영주들은 비싼 물건들을 모으는 것이 취미였고, 이것의 대표적인 예는 동물들의 가죽 혹은 털이었다. 돈이 많은 여자와 남자들은 사냥을 즐겼으며, 자신의 집으로 음악가들을 불러 자신들을 즐겁게 하도록 하였다.


The obligations


Vocabulary

Bargain: an advantageous purchase 싸게 사는 물건, 합의, 흥정, 협상 (흥정) 하다

Arrange: to place in proper, desired, or convenient order 마련하다, 처리하다

Consider: to think carefully about 고려하다, 숙고하다, 여기다


각 마을의 영주들은 자신들의 노예들에게는 절대권력을 쥐고 있었지만, 이들도 자신들이 지켜야 할 의무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이들은 전쟁이 나면 왕들에게 자신들의 군사를 보내줘야 했고 이것을 못 지킨다면 영주의 위치는 그 자리에서 박탈당하였다. 또한 영주들은 결혼을 하여 아이들을 많이 낳아야 했다. 만약 영주들이 자녀가 없이 죽는다면, 그의 재산들은 관리인들에게 돌아갔다. 대부분 영주들의 결혼은 부모들이 주선하였고, 젊은 영주들은 자신이 누구랑 결혼하는지 조차 몰랐다. 영주들의 결혼은 힘과 권력만을 위한 것이었고, 로맨스라고는 없었다. 가족들의 이익이 개인의 이익보다 더 중요하였다.


A woman’s rights


Vocabulary

Dramatically: highly effective, striking, vivid, moving 극적으로

Inherit: to take or receive (property, a right, a title) by succession or will 상속받다, 물려받다

Treat: to act or behave toward (a person) in some specified way, to deal with 대하다, 다루다, 취급하다

Heiress: a woman who inherits or has a right of inheritance (상당한 재산의) 여자 상속인

Orphan: a child who has lost both parents through death 고아

Ward: an orphan who is put in another person’s care until he or she becomes an adult 피보호자, 병실, 병동

Completely: having all parts or elements, whole, entire 완전히, 전체적으로

Refuse: to decline to accept, deny 거절하다


남자와 여자들이 자라면서 남자들에게 더 많은 권리가 주어졌다. 여자들은 결혼하기 전에는 아버지들이 여자들의 삶을 통제하였고, 결혼한 후에는 남편들이 여자들의 삶을 통제하였다. 결혼하지 않았고 아버지의 재산을 물려받은 여자들은, 남자들에게 있어 행운과도 비슷한 것이었다. 영주들은 이러한 여자들을 노렸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자들은 미리 결혼을 하였다. 결혼을 한 후에는 여자의 모든 재산은 남편의 것이 되었다. 미혼녀들은 권리가 적었지만, 과부들은 결혼했던 당시의 권리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들은 왕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재혼을 하지 않았다.


Belief and Devotion (pg: 54-56)


Vocabulary

Appear: to come into sight, become visible 나타나다, 보이다

Frequently: often, many times 자주, 종종

Devoutly: devoted to divine worship or service, religious 독실하게, 충심으로, 경건히

Struggle: to contend with an adversary or opposing force, strive 투쟁하다, 몸부림치다

Judge: a public officer authorized to hear and decide cases in a court of law, to pass legal judgment on, pass sentence on 판사, 판결하다

Eternity: infinite time, duration without beginning or end 영원, 영겁, 오랜 시간

Ceremony: the formal activities conducted on some solemn or important public or state occasion, a formal religious or sacred observance 의식, 식, 의례, 기념식

Sin: transgression of divine law, to commit a sinful act 죄, 죄악, 죄를 짓다

Forgiven: forgive의 과거 분사, 용서하다

Avoid: to keep away from, to prevent from happening 피하다

Agony: extreme and generally prolonged pain 극도의 고통, 괴로움

Evidence: that which tends to prove or disprove something, proof 증거

Drought: a period of dry weather, especially a long one that is injurious to crops 가뭄

Blame: to hold responsible, find fault with 을 탓하다, 책임으로 보다

Dedicate: to devote wholly and earnestly 바치다, 헌신하다, 전념하다

Saint: any of certain persons of exceptional holiness of life 성인, 성자

Aspect: appearance to the eye or mind, look 측면, 양상, 면

Sceptical of: doubting the truth of 회의적인 (skeptical)

Relic: an item associated with a saint, thought to have great powers 유물, 유적

Spiritual: of or pertaining to the spirit or soul, as distinguished from the physical nature 정신적인, 영적인, 종교적인

Solitude: the state of being or living alone, seclusion 고독


중세기 사람들의 삶에는 종교적인 의미들이 많았다. 유럽 전 지역에는 교회들이 세워지기 시작하였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회들을 다녔다.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이 살면서 악과 선 사이에서 투쟁해야 했고, 그리고 개개인은 죽고 나서 심판 당할 것이라고 믿었다. 어렸을 때는 선한 사람은 천국을 가고 나쁜 사람은 지옥을 가서 평생 고통을 받는다고 배웠다. 그들은 또한 살면서 교회행사에 참여함으로써 자신들의 죄들이 씻겨질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또한 하나님이 자신들의 곁에 있다고 믿었고, 이것은 바로 성공과 실패, 건강과 아픔, 가뭄과 비 들을 통해 보인다고 믿었다. 그들의 삶에 나쁜 일이 있으면 이것은 바로 그들이 죄를 지었기 때문이었다. 기독교 행사들은 하나님의 축복 없이는 진행하지 않았고, 중세 달력에서 모든 날들은 각기 다른 성인들을 위해서 바쳐졌는데, 많은 캐나다 사람들은 지금도 발렌타인 데이와 성 페트릭의 날을 기념한다. 중세기 사람들은 현대에 있는 사람들이 의아해할 부분들을 말없이 받아들였다. 대표적인 예가 성스러운 유물이다. 중세기 사람들은 이것을 소유함으로 인하여 죄를 피할 수 있다고 믿었ㄷ다. 기독교인들은 너무나 자신들의 종교에 빠져들어, 그들 삶의 대부분의 교회에 헌신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몇몇의 사람들은 감옥 같은 방에서 살며 그들의 영혼이 하나님과 더 가까워지기를 바라는 사람들도 있었다.


The Church


Vocabulary

Institution: an organization, establishment, foundation 기관, 단체, 협회

Influential: having or exerting influence, consequential 영향력 있는

Excommunicate: to cancel a person’s membership in the Church 파문하다, 제명하다

Participate: to take or have part or share, as with others 참여하다

Considerable: rather large or great in size, distance, extent, important 상당한, 많은

Footing: the basis or foundation on which anything is established 발을 디딤, 기반, 토대

Priest: a person whose office it is to perform religious rites 사제, 신부, 성직자

Burial: the act or ceremony of burying 매장, 장례식

Desperate: reckless or dangerous because of despair or urgency, having an urgent need, desire 자포자기한, 필사적인, 극단적인

Tithe: money or produce given to the Church, worth approximately one-tenth of one’s income 십일조 헌금, 십일조를 내다

Replacement: the act of replacing, a person or thing that replaces another 교체, 대체

Wage: money that is paid or received for work or services 임금

Inspire: to fill with an animating, quickening 고무하다, 격려하다, 영감을 주다

Ecclesiastical: having to do with the Church 기독교의

Career: an occupation or profession 직업, 직장 생활, 경력

Alternative: a choice limited to one of two or more possibilities 대안

Drudgery: menial, distasteful, dull or hard work 힘들고 단조로운 일

Routine: a customary or regular course of procedure 규칙적으로 하는 일의 통상적인 순서와 방법


중세에 기독교인들은 신앙생활을 오직 교회를 통하여서만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회는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력과 힘을 가지고 있었다. 한 사람에게 있을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은 교회에서 파문 당하는 것이었다. 파문된 자들은 결혼을 할 수 없으며, 죽기 직전 축복을 받을 수도 없었다. 파문은 사람들에게 지옥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생각되었다. 한 마을당 하나의 교회와 목사들이 있었고, 교회에서는 결혼식, 장례식 그리고 대부분의 행사들이 이루어졌다. 교회는 사람들에게 받은 세금을 통하여 유지되었고, 이 세금들은 사람들의 수입의 십 분의 일이나 되는 거액이었다. 목사들은 돈을 빼돌리면서 부자가 되었고, 교회들은 자신들만의 땅을 소유하면서 더욱 커졌다.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교회는, 그들의 삶을 공부와 기도를 통하여 헌신할 기회를 얻거나, 마을의 단조롭고 힘든 생활에서 벗어나 사회적 위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신들의 삶을 바꿀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였다.


Monastic life


Vocabulary

Nun: a woman member of a religious order 수녀, 여승

Convent: a community of persons devoted to religious life under a superior 수녀원

Nunneries: a building or group of building for nuns, convent 수녀원, 수녀 사회

Chastity: virtue, modesty, doing without sex 순결

Obedience: the state or quality of being obedient 복종, 가톨릭의 순종, 권위

Shortage: a deficiency in quality 부족, 불충분

Applicants: a person who applies for or requests something, a candidate 지원자

Illustrate: to furnish (a book, magazine) with drawing, pictures 묘사하다


많은 남자들과 여자들은 수녀와 수도자들이 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삶을 기도를 위해 사용하였고, 새로 들어온 사람들은 서약을 맺어야 했다. 수도자들과 수녀들은 기도로 하루를 시작하였고 어떠한 교회들은 기도하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말을 하지 못하게 하였다. 음식들은 간편한 편이었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사람들은 끊임없이 지원하였다. 그들의 삶에도 자유시간은 주어졌으며, 이 시간에는 자신들이 무엇을 할지 결정할 수 있었다.


The Law (pg: 56-58)


Vocabulary

Custom: a habitual practice, habits or usages collectively 관습, 풍습, 습관

Courtroom: a room in which the sessions of a low court are held 법정

Prosecute: to present evidence to prove a person’s guilt 기소하다, 고발하다

Sue: to seek compensation for a personal wrong 고소하다, 소송을 제기하다

Witness: to see, hear, or by personal presence and perception, an individual who, being present, personally sees or perceives a thing, a beholder 목격자, 중인, 목격하다

Sentence: an authoritative decision, the punishment itself 형벌, 선고, 문장, 선고하다

Judge: one who hears and decides cases in court 판사

Definitely: in a clear and definite manner, unambiguously 분명히, 틀림없이, 절대로

Trial: the examination before a judicial tribunal of the facts put in issue in a cause, the act of trying, test, proof 재판, 공판, 시험

Try: to determine guilt or innocence 판단하다

Toads: any of various tailless amphibians that are close relatives of the frogs in the order Anura 두꺼비, 징그러운 놈


많은 캐나다의 법적 습관이 중세에서 물려받았다. 그러나 현재의 모습과 과거의 모습은 비슷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있다. 예를 들어, 쥐가 마을의 곡물을 먹었다고 재판에 회부하는 것을 현재는 상상할 수 없지만, 중세의 사람들은 쥐, 두꺼비, 벌레들까지도 재판에 회부하곤 하였다. 사람의 삶에 해를 끼치는 것은 무엇이건, 심판대에 올려졌고, 소의 죽음, 사고 또는 쥐가 음식을 훔치는 것도 악에 포함되었다.


Trial by ordeal and trial by battle


Vocabulary

Ordeal: dreadful experience 시련, 경험

Expose: to lay open to danger, attack, harm 드러내다, 폭로하다, 노출하다

Variety: the state of being varied or diversified 여러 가지, 갖가지, 각양 각색

Swallow: to take into the stomach by drawing through the throat 삼키다, 들이키다

Infected: 감염된, 오염된

Assumed: 추정되는, 상정하는


시련이나 전투를 통하여 유죄, 무죄를 결정하는 것은 주세에 흔한 방법이었다. 신은 분명히 선한 사람을 도울 것이기 때문에, 무고한 사람이 위험에 빠질 상황이라면 당연히 신이 그를 보호해 주지 않을까라는 생각이었다. 시련을 통한 재판은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독을 삼키게 하거나, 끓는 기름에서 물건을 꺼내게 하는 것 등이었다. 이렇게 한 다음 그 상처가 감염되면 그 사람은 유죄로 판결 받았고, 이러한 시련에 의한 재판은 중세 말기에 금지되었다. 결투에 의한 심판은, 귀족들만이 할 수 있었고, 당연히 신은 선한 사람 편을 들 것이기 때문에, 결투에 이긴 사람이 무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Manor courts


Vocabulary

Matter: the substance, something that occupies space 문제, 사안, 중요하다, 문제되다

Accuse: to charge with the fault, offense, or crime 고발하다, 기소하다, 비난하다

Crime: an action or an instance of negligence that is deemed injurious to the public welfare or morals, criminal activity and those engaged in it 범죄, 범행

Petty: of little or no importance or consequence 사소한, 하찮은

Assault: an attempt to physically harm another person 폭행, 공격, 폭행하다

Drunkenness: 취기, 취한 상태, 건들거림

Representative: a person or thing that represents another or others, an agent or deputy 대표, 대리인, 대표하는

Steward: a person who manages another’s property or financial affairs 간사, 남자 승무원, 집사


영주 심판, 국왕 심판, 교회 재판 등 여러 가지의 형태가 법적인 문제들을 다루었다.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국왕이 주관하는 재판에 보내졌고, 성직자들은 교회 재판이 담당했다. 가장 흔한 것은 영주 재판이었고, 사소한 분쟁이나 하찮은 법들을 집행하였다. 영주 재판의 대다수 경우는 농업과 가난에 관한 것이었다. 너무 많은 거름을 쓰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었다. 이 재판은 폭행, 음주, 사소한 도둑질 등도 다루었다. 영주 재판은 마을의 모임 같은 성격이었으며, 대다수의 마을 사람들이 여기에 참가하였다. 증인이 매우 중요했으며,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무거운 벌금이 내려졌다. 마을 사람들이 판결을 하였고, 영주의 집사가 재판관 역할을 하며 보통은 벌금을 매기는 판사 역할을 담당했다.


Royal courts


Vocabulary

Treason: betraying one’s country or ruler 반역죄, 반역

Rape: the unlawful compelling of a person through physical force or duress to have sexual intercourse 강간하다, 성폭행하다

Burglary: the felony of breaking into and entering the house of another at night with intent to steal 절도, 빈집털이

Poaching: the illegal practice of trespassing on another’s property to hurt or steal game without the landowner’s permission 불법 침입, 침해, 침범

Warden: a person charged with the care or custody or persons, animals 관리인, 교도소장

Common law: the unwritten law based on custom or court decision 관습법

Execution: the act of process of executing 처형, 사형, 실행

Capital: important 중요한, 자본의, 수도


왕이 주관하는 재판은 살인, 반역, 강간, 강도 등의 중대한 범죄를 다루었다. 왕족의 숲에 무단 침입하거나, 그곳의 나무를 베거나, 연료로 쓰기 위해 죽은 나무를 가져가는 것도 중대한 범죄로 취급되었다. 왕실 재판은 관습법을 사용하였고, 전체 왕국에 대하여 동일하였기 때문에 관습이라고 불렸다. 이 법정만이 살인자와 도둑의 처형을 명령할 수 있었다. 1300 년경에 1 실링 (일주일 치의 임금 정도) 정도의 가치를 넘는 도둑질을 하는 것은 죽음으로 처벌받는 중요한 범죄였다. 죄인의 처형 이후 그의 재산은 법정이 몰수하였다.


Church courts


Vocabulary

Pope: the bishop of Rome as head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교황

Bishop: a person who supervise a number of local churches 주교

Deacons: a member of the clerical order next below that of a priest 부제, 보제, 집사

Clerks: a person employed, as in an offices, to keep records, file, type 사무원, 점원

Clergy: the group or body of ordained persons in a religions 성직자들

Literacy: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literate, especially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

Lenient: mild, merciful 관대한


신의 직접적인 대리인이 교황으로 여겨졌고, 그는 교회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절대적인 권력을 가졌기 때문에, 교회 재판은 주교, 부제, 집사, 목사, 수녀 등만을 재판할 수 있었다. 교회 재판은 일반적으로 왕실 재판보다 가벼운 형벌을 내렸고 사형 판결을 내릴 수 없었다. 또한 모든 성직자들을 쓰고 읽을 수 있었기 때문에, 교회 재판을 받기 위해서는 그런 테스트를 받아야 했다. 좀더 관대한 처분을 받기 위해서, 몇몇 범죄자들은 교육을 받기도 하였다.


Henry II and the murder of Thomas Becket


Vocabulary

Overlap: to lap over, extend over and cover a part of 겹치다, 포개지다, 공통 부분

Conflict: to come into collision or disagreement, be contradictory 상충하다, 갈등, 충돌

Convicted: to prove or declare guilty of an offense 유죄로 결정된, 유죄를 선고하다

Appoint: to name or assign to a position 지명하다, 임명하다

Archbishop: a bishop of the highest rank 대주교

Flee: to run away, as from danger or pursuers 달아나다, 도망치다

Meddlesome: interfering 간섭하길 좋아하는

Remark: to say casually, to note, perceive, the act of remarking, notice 발언, 말, 논평, 언급하다

Altar: an elevated place or structure, as a mound or platform 제단

Flogging: to beat with a whip, stick, etc., especially as punishment 태형, 장형

Shrine: a place of worship 성지

Interfere: to come into opposition, to take part in the affairs of others 간섭하다

Canonize: to declare that a person is a saint 성인으로 공표하다, 시성하다


교황이 종교적인 문제에 관하여는 왕과 여왕에게도 권한이 있었고, 중세에는 왕족과 교회간에 힘의 충돌과 겹치는 경우가 발생할 때마다 분쟁이 발생하였다. 1164년, 영국의 헨리 2세는 중대한 죄를 지은 성직자들도 왕족 재판에 넘겨지길 원하였고, 이는 교회 재판이 너무 가벼운 벌을 내린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캔터베리의 주교였던 토마스 베켓은 왕의 이런 명령을 따르지 않았으며, 결국 헨리 왕은 토마스의 모든 재산을 압류하고, 그를 프랑스로 도망치게 만들었다. 6년 후, 헨리 왕은 토마스가 영국으로 돌아와서 영국 교회의 수장이 되는 것에 동의하였지만, 토마스는 다시 왕을 화나게 하였다. 결국 기사들이 가서 토마스를 살해하였다. 헨리 2세가 자신은 그 살해를 지시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전 유럽이 이 살해 사건에 분노하였고, 알렉산더 3세 교황은 결국 헨리 2세에게 태형을 받을 것과 교회 재판에 간섭하지 않게 하였다. 토마스 주교가 죽은 지 2년 후, 그는 성인으로 공표되었고, 빠르게 영국에서 가장 유명한 성인이 되었다. 캔터베리 성당은 영국의 가장 위대한 종교적 성지가 되었다.



World View (pg: 60-61)


Medieval geography


Vocabulary

Vast: of very great area or extent, immense 어마어마한, 방대한, 막대한

Boundary: something that indicates bonds or limits 경계, 한계, 분계선

Journey: a travel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여행, 여행하다

Trader: a merchant or businessperson 상인, 무역인


중세의 사람들은 대부분 교육을 받지 못하였고, 자신이 태어난 영주의 땅 밖을 볼 기회가 없었다. 여행은 매우 위험했고, 무법자가 판을 쳤으며, 여행할 때는 주로 낮에만 그것도 무리 지어 가야만 하였다. 대부분의 귀족들은 친척을 방문하거나, 다른 귀족의 영지를 방문하면서 자신의 영지 밖에 대하여 알게 되었지만, 이렇게 자주 여행하는 사람들도 세상의 아주 조금밖에는 알 수 없었다. 지도는 아주 드물었고, 오류투성이였다. 오늘날 T-O 지도로 알려진 당시의 지도는, 기독교의 성지인 예루살렘이 항상 알려진 세상의 중심에 위치하게 하였다.


Contacts with Asia


Vocabulary

Misguided: misled, mistaken 잘못 이해한, 잘못 판단한

Notions: a general understanding, conception or idea 개념, 관념, 생각

Affected: acted upon, influenced 영향 받은

Merchants: a person who buys and sells commodities for profit 상인

Accompanied by: 을 동반하여

Historian: an expert in history, authority on history 사학자

Influence: to exercise influence on, the capacity or power of persons or things to be a compelling force on 영향을 주다, 영향


전 세계적인 지리학에 대한 잘못된 생각에도 불구하고, 서 유럽인들은 세계의 다른 부분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13세기에 징기스칸은 중국을 포함한 광활한 몽고 제국을 세웠고, 처음으로 유럽인들은 실크로드로 알려진 고대 무역로를 따라 중국으로 여행을 갈 수 있었다. 1255년, 베네치아 상인들인 Nicolo와 Maffeo Polo가 중국으로의 긴 여행을 마칠 수 있었다. 그 후 1271년, 이번에는 아들인 마르코가 함께 하였고, 그는 징기스칸의 후계자인 쿠빌라이 칸의 눈에 띄어 중국 법정의 관리가 되었다. 17년을 머물고 유럽으로 돌아왔고, 많은 역사학자들이 마르코가 적은 것들에 대하여 의문을 하지만, 그의 여행을 기록한 것은 유럽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코 폴로가 돌아온 몇 년 후, 실크로드는 다시 닫혀진다.


The Crusades (pg: 62-64)


Vocabulary

Sacred: devoted or dedicated to a deity or to some religious purpose 성스러운, 종교적인

Prejudice: an unfavorable opinion or feeling formed beforehand 편견, 편견을 갖게 하다

Lust: intense sexual desire or appetite 성욕, 욕정, 열의

Booty: spoil taken from an enemy in war, plunder 전리품, 노획물

Warriors: a person engaged or experienced in warfare, soldier 전사

Guarantee: a promise or assurance, to secure, as by giving or talking security 굳은 약속, 확약, 확약하다, 보장하다

Gain: profit or advantage, to get (something desired), to obtain as a profit 이익, 이익을 얻다

Deeds: something that is done, performed, or accomplished 행위, 행동, 증서


십자가 전쟁은 유럽의 기독교인과 이슬람 교도 간에, 예수가 살고 죽었던 현재의 이스라엘 땅인 성지를 둘러싸고 벌인 전쟁이다. 이 성지는 한때는 기독교 비잔티움 제국의 일부였으나, 11세기에 오늘날 팔레스타인으로 알려진 땅이, 이슬람 교도인 셀주크 투르크족의 지배를 받은 후부터 중세 기독교인들은 이 성지에서 무슬림 들을 몰아내고 싶어했다. 하지만 이 지역은 선지자 마호메트가 천국으로 올라갔다고 믿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무슬림에게도 중요한 곳이었다. 중세의 기사들이나 이슬람교의 전사들 모두 이러한 전쟁을, 천국으로 인도하는 전쟁으로 보았고, 십자군은 그의 전투 행위를 통해서 명예로운 평판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많은 수의 기사들은 적들로부터 그들의 영지를 탈환하기 위한, 땅에 굶주린 봉건 영주였으며, 1096년부터 1254년까지 모두 합쳐 7차례의 십자가 전쟁이 있었다.


Disasters and victories


Vocabulary

Military: of, for, or pertaining to the army or armed forces 군사적인, 군대의

Gather: to bring together into one group 모이다, 모으다

Wipe: to rub lightly with or on a cloth, towel, etc. 닦다, 훔치다

Disastrous: causing great distress or injury 처참한, 형편 없는

Recapture: to capture again, recover by capture, retake 탈환하다, 다시 붙잡다

Regain: to get again, recover 되찾다, 회복하다


첫 번째 십자가 전쟁의 전투 이전에도, 일반 사람들이 유럽 전역에서 전투를 위하여 모여들었다. 교황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남자, 여자, 어린이 수천 명이 유럽을 돌아 다녔고, 콘스탄티노플로 가는 길에 몇 차례의 유대인과 동료 기독교인의 대학살에 책임이 있다. 그러나 그들은 터키의 군대에 의해 소아시아에서 물러났다. 13세기에 끔찍한 어린이 십자가 전쟁이 실패하여, 대다수가 죽거나 아랍 노예상에 의해 북아프리카로 팔려 갔다. 무장한 기사들의 합류는 더 큰 결과를 가져왔다. 중동 지역에서 시작된 첫 번째 십자가 전쟁은 약 100년간 지속되었다. 1187년 과감한 무슬림 지도자인 술탄 살라딘이 예루살렘을 다시 차지하였고, 살라딘 치하의 단합된 무슬림에 반해서 방향을 잃은 십자군은, 결국 십자가 전쟁을 끝내게 하고, 무슬림은 그들의 땅을 다시 얻게 된다.


Long-term consequences


Vocabulary

Result: to spring, arise, be the outcome, something that happens as a consequence 결과, 결실, 결과로 발생하다

Long-term: covering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장기의, 장기적인

Consequences: the effect, result, or outcome of something occurring earlier 결과, 귀결

Flourishing: growing vigorously, thriving, prosperous 무성한, 번영하는, 융성한

Pursuit: the act of pursuing, an effort to secure or attain 추구, 쫓음, 추격

Astronomy: the science that deals with the material universe beyond the earth’s atmosphere 천문학

Eventually: finally, ultimately 결국, 종내


십자가 전쟁은 교황과 기독교 왕들이 바랬던 것처럼 장기적인 군사적 승리로 끝나지는 않았지만, 결국 많은 사람의 생활을 바꾸어 놓았다. 서부 유럽인들은 무슬림들이 매우 발전된 문명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당시 이슬람 교도들은 의학, 천문학, 철학, 수학, 문학 등에서 학문적으로 꽃을 피웠고, 결국 십자가 전쟁은 간접적으로, 이러한 지식들이 이슬람 교도, 유대인, 기독교 학자들간에 교환되게 하였고, 유럽의 지적인 발전은 궁극적으로 르네상스를 이끌게 된다. 십자가 전쟁은 무역을 촉진시켰고, 유럽인의 지식을 확장하였다. 십자군들은 비단, 누에, 향료, 자두와 무화과 같은 새로운 종류의 과일들을 비롯한 많은 새로운 물건들을 들여왔다. 의도하지 않게, 십자군들은 유럽인들로 하여금 해외의 물건들에 대한 열망을 갖게 하였고, 이것이 이후 발견을 위한 항해로 이어진다. 무역의 증가는 유럽 경제를 열었고, 많은 유럽인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켰다.


Royal Power and Democracy (pg: 65-67)


The Balance of Power


Vocabulary

Estates: a piece of landed property 사유지, 토지

Contract: an agreement between two or more parties for the doing or not doing of something specifies, to draw together or into smaller compass 계약, 줄어들다

Justified: to show to be just or right 당연한, 정당한 이유가 있는, 타당함을 보여주다

Threat: a declaration of an intention or determination to inflict punishment 협박, 위협

Castles: a fortified, usually walled residence 성, 궁

Rebellion: open, organized, and armed resistance to one’s government or ruler 반란, 모반, 저항

Pose: to assume a particular attitude or stance 취하다

Fulfill: to carry out, to perform or do, to satisfy (의무, 약속, 직무 등을) 다하다, 이행하다, 수행하다, 만족시키다

Utmost: of the greatest or highest degree 최고의, 극도의

Blot: a spot or stain 얼룩, 잉크 방울을 흘리다, 닦아내다


관습과 법에 의해서 봉건 군주는 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하고, 세금을 걷고, 지위와 땅을 주는 힘이 있었지만, 그러한 권력이 무제한적인 것은 아니었다. 봉건 제도의 참여자로써, 그도 봉건관례를 따라야 했다. 왕은 소수의 힘있는 사람들의 그룹에 의해 점검되었고, 그들은 바로 부유하고 힘이 있었던 baron이라 불려지는 귀족들이었다. 만약 봉건 군주가 봉건 계약을 깨는 행동을 할 경우, 귀족들은 전쟁을 할 수 있었고, 그래서 중요한 위험이었다. 귀족들은 다수의 군대와 강한 성을 보유하였고, 그들의 가신들을 아주 짧은 시간에 전투에 참여하게 할 수 있었다. 왕의 군대는, 반면에 영국에 걸쳐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모으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한 명이나 여러 명의 귀족들의 갑작스런 반란은 제압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렇게 귀족들이 실제적인 위협이었기 때문에, 군주는 그의 봉건적 의무를 다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고, 귀족들을 존경하는 태도로 대하였다. 이 당시는 공격이 쉽게 일어나는 때였고, 사소한 모욕이라도 복수하지 않으면 오점으로 여겨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가입/로그인 후 댓글 남겨 주세요.

로그인/회원가입
Total 52건 3 페이지
세컨더리-자료실 목록
  제목 작성일
43 대학진학 2023-05-04 13:23:20
28 학업관리 2024-03-22 10:02:41
7 학업관리 2023-11-02 11:34:49
6 학업관리 2023-11-02 11:32:51
5 학업관리 2023-11-02 11:30:26
4 학업관리 2023-11-02 11:26:28
3 학업관리 2023-11-02 10:26:40
2 학업관리 2023-11-02 10:16:21
1 학업관리 2023-10-26 11:45:47
44 대학진학 2023-05-20 11:55:25
45 TOEFL,SAT,AP 2022-12-08 12:47:55
46 2022-11-09 13:38:56
47 TOEFL,SAT,AP 2022-07-19 11:57:43
48 2022-07-18 09:11:38
39 학업관리 2022-01-24 14:55:30
40 학업관리 2022-01-18 18:03:32
49 2021-11-09 16:39:50
50 2021-10-15 10:19:45

검색


IGE 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