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 주 9학년 사회 Cross Road 챕터 3-REVOLUTION IN FRANCE > 세컨더리-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세컨더리-자료실

학업관리 BC 주 9학년 사회 Cross Road 챕터 3-REVOLUTION IN FRANCE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IGE
댓글 0건 조회 109,163회 작성일 23-11-02 11:34

본문


Vocabulary

1. Bill of right : American officials say they plan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progress in human rights, the Bill of Right and the fight against the illegal drug trade : 권리 장전

2. Lavishly : in an expensive manner; spending or owning much more than is necessary : 호화로운

3. Feudal system : Feudalism was a system in which people were given land and protection by people of higher rank, andworked and fought for them in return : 봉건제도

4. Illiterate : Someone who is illiterate does not know how to read or write :문맹

5. Bourgeoisie : In Marxist theory, the bourgeoisie are the middle-class people who own most of the wealth in a capitalist system : 중산층

6. Philosophy : Philosophy is the study or creation of theories about basic things such as the nature of existence, knowledge, and thought, or about how people should live :철학가

7. absolute monarchy : a monarchy without constitutional limits Compare constitutional monarchy : 전제 군주제

8. Injustice : Injustice is a lack of fairness in a situation : 부당성

9. Aristocrat : An aristocrat is someone whose family has a high social rank, especially someone who has a title : 귀족

10. Seigneur : a feudal lord, esp in France : 영주

11. Hierarchy : A hierarchy is a system of organizing people into different ranks or levels of importance, for example in society or in a company : 계급

12. Peasant : A peasant is a poor person of low social status who works on the land; used of people who live in countries where farming is still a common way of life : 소작농

13. Epidemic : If there is an epidemic ofa particular disease somewhere, it affects a very large number of people there and spreads quickly to other areas :전염병

14. Famine : Famine is a situation in which large numbers of people have little or no food, and many of them die : 기근

15. Artisan : An artisan is someone whose job requires skill with their hands : 장인

16. Inflation : Inflation is a general increase in the prices of goods and services in a country : 인플레이션

17. Monopoly : If a company, person, or state has a monopoly on something such as an industry, they have complete control over it, so that it is impossible for others to become involved in it : 독점

18. Tariff : A tariff is a tax that a government collects on goods coming into a country : 관세

19. Toll : When a bell tolls or when someone tolls it, it rings slowly and repeatedly, often as a sign that someone has died : 통행료

20. Infrastructure : The infrastructure of a country, society, or organization consists of the basic facilities such as transport, communications, power supplies, and buildings, which enable it to function : 사회 기반 시설

21. Extravagance : Extravagance is the spending of more money than is reasonable or than you can afford : 사치

22. Deficit : A deficit is the amount by which something is less than what is required or expected, especially the amount by which the total money received is less than the total money spent 적자

23. Catalyst : You can describe a person or thing that causes a change or event to happen as a catalyst : 촉매, 촉구시키는 것

24. Enlightenment : Enlightenment means the act of enlightening or the state of being enlightened : 깨우침

25. Empiricism : Empiricism is the belief that people should rely on practical experience and experiments, rather than on theories as, a basis for knowledge : 경험주의

26. Bigotry : Bigotry is the possession or expression of strong, unreasonable prejudices or opinions :심한 편견

27. Riot : When there is a riot, a crowd of people behave violently in a public place, for example they fight, throw stones, or damage buildings and vehicles : 폭동

28. Republican government : 공화 정치

29. Unemployment : Unemployment is the fact that people who want jobs cannot get them : 실업

30. Estates General : social level divided into 3 ( clergy, aristocrat and middle class) : 삼부화

31. Clergy : The clergy are the official leaders of the religious activities of a particular group of believers : 성직자

32. Bloc : A bloc is a group of countries which have similar political aims and interests and that act together over some issues : 연합

33. Bankrupt : People or organizations that gobankrupt do not have enough money to pay their debts : 파산

34. Treasury : In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some other countries, the Treasury is the government department that deals with the country's finances : 재무부

35. Absolute power : 절대적 권력

36. Revolutionary spirit : 혁명에 참여하고자 하는 정신

37. Delegate : 임명하다

38. Declare : 선포하다

39. National Assembly : the body constituted by the French Third Estate in June 1789 after the calling of the Estates General. It was dissolved in Sept 1791 to be replaced by the new Legislative Assembly : 프랑스 하원, 국회

40. Constitution : The constitution of a country or organization is the system of laws which formally states people's rights and duties : 헌법

41. Mob : A mob is a large, disorganized, and often violent crowd of people : 군중, 시위대

42. Mercenary : A mercenary is a soldier who is paid to fight by a country or group that they do not belong to : 용병, 군인

43. Obligation : If you have an obligation to do something, it is your duty to do that thing : 의무

44. Abolish : If someone in authority abolishes a system or practice, they formally put an end to it : 폐지하다

45. Serfdom : The system of serfdom was the social and economic system by which the owners of land had serfs : 농노 제도

46. Seize : If you seize something, you take hold of it quickly, firmly, and forcefully : 장악하다, 붙잡다

47. Assignat : the paper money issued by the Constituent Assembly in 1789, backed by the confiscated land of the Church and the émigrés : 아시냐 지폐 (프랑스 혁명 때 정부가 발행한 것)

48. Émigré : An émigré is someone who has left their own country and lives in a different country for political reasons : 망명자 (다른 나라로 도망하는 사람)

49. Legislative Assembly : 입법 의회

50. Arrest : 체포하다

51. Imprison : 감옥에 넣다

52. Radical : 급진 주의자 (진보당) 혁신을 추구하는 정치파

53. Monarchist : If someone has monarchist views, they believe that their country should have a monarch, such as a king or queen : 군주제를 지지하는 사람

54. Constitutional monarchy : Also called : limited monarchy a monarchy governed according to a constitution that limits and definesthe powers of the sovereign : 입헌 군주 정체

55. Moderate : Moderate political opinions or policies are not extreme : 중당, 중도파

56. Suspicion : Suspicion or a suspicion is a belief or feeling that someone has committed a crime or done something wrong : 협의

57. Girondist : a member of a party of moderate republican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many of whom came fromGironde: overthrown (1793) by their rivals the Jacobins See also Jacobin :프랑스의 지롱드 당원

58. Conservative : A Conservative politician or voter is a member of or votes for the Conservative Party in Britain : 보수적인

59. Reign of Terror : the period of Jacobin rule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during which thousands of people were executed for treason (Oct 1793--July 1794) : 공포정치, 공포시대

60. Guillotine : A guillotine is a device used to execute people, especially in France in the past. A sharp blade was raised up on a frame and dropped onto the person's neck 단두대 사형

61. Regime : If you refer to a government or system of running a country as a regime, you are critical of it because you think it is not democratic and uses unacceptable methods : 정권

62. Royal family : 왕실, 왕족

63. national convention : a convention held every four years by each major US political party to choose its presidential candidate : 정당의 대통령 후보를 뽑기 위한 전당대회

64. intimidate : If you intimidate someone, you deliberately make them frightened enough to do what you want them to do : 협박하다, 위협을 가하다

65. eliminate : To eliminate something, especially something you do not want or need, means to remove it completely : 제거하다, 없애다

66. Reorganization : 재편성, 재구성

67. Speculator : A speculator is a person who speculates financially : 투기자

68. Granary : 곡물 저장고

69. Modernize : To modernize something such as a system or a factory means to change it by replacing old equipmentor methods with new ones : 현대화 하다

70. Dictator: A dictator is a ruler who has complete power in a country, especially power which was obtained by force and is used unfairly or cruelly : 독재자

71. Dictatorship : 독재 정치

72. Condemn : If you condemn something, you say that it is very bad and unacceptable :규탄하다

73. death penalty : The death penalty is the punishment of death used in some countries for people who have committed very serious crimes : 사형제도




CHAPTER 3 REVOLUTION IN FRANCE


INTRODUCTION

England는 17세기의 혁명 기간 동안 많은 민주주의 관례를 가지고 있었다. 의회는 Anglo-Saxon 시대 때부터 존재 해 왔고 (대략 800-1100년) English 사람들은 Divine Right of Kings 주의를 수용하지 않았다. 이것이 William과 Mary가 의회와 협동 하여 English Bill of Rights를 받아드린 것의 시초였다. 이 상황은 France에선 현저하게 달랐다. France에서는 군주제를 없애고 서민들의 권리를 보장 받기 위해서는 피비린내 나는 혁명이 일어 나야만 했다. French revolution은 France를 완전히 바꿔 놓았다. 또한 다른 유럽지역과 민주주의 발달에 영향을 끼쳤다. 혁명은 어느 정도 예상된 일이었다. French 통치자는 하던 일에 손을 놓게 되었고 나라는 부채와 높은 세금에 시달리면서 가난하고 희망 없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상위 계층 사람들은 사치를 즐기며 호화로운 생활을 즐기고 있었다.

France는 서유럽에서 가장 큰 나라인 동시에 제일 뒤쳐지는 나라였다. 특권을 가진 귀족과 농노로 이루어진 봉건제도는 France의 주를 이루고 군주제는 Bourgeoisie라고 불리던 상업 층에 많은 규제를 두어 경제 발전을 방해했다. France의 왕은 신 말고는 상대 하지 않는 전제군주였다. 적은 수의 시민들만 이 것에 동의했다

이런 상황에서 철학가로 알려진 깨어있는 사상가의 아이디어가 사회의 모든 계층에 영향을 끼쳤다. 근본적으로 철학가들은 전제군주에 동의하지 않았고 민주주의와 평등을 추구했다. 이러한 사상은 곧 서민들의 생각도 바꾸어 놓았고 혁명이 일어나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THE REGIONS OF FRANCE

France는 세면의 바다로 된 경계면 에 위치하고 있었고 British 경로와 Strait of Dover를 기준으로 England와 나누어 져 있었다. 서쪽에는 Atlantic Ocean으로 흐르는 Bay of Biscay, 그리고 남쪽으로는 Mediterranean Sea가 위치하고 있었다.

France 는 많은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기후, 넓은 땅, 높은 강우량, 비옥한 흙은 사탕수수나 와인을 만들 때 쓰는 포도 같은 작물을 재배하기에 안성맞춤이었다. France는 서부 유럽 지역에서 제일 많은 밀을 재배하는 나라였다. Rhone, Garonne 그리고 Seine같은 큰 강들은 물과 운송 시스템에 도움을 주었다.

혁명이 일어 나기 전 17세기, 거의 모든 토지들이 봉건 사유지를 가지고 있던 왕실의 귀족에 의해 소유되고 있었다. 가톨릭 교회도 그 중 큰 소유주였다. 시민들 중 5분의 4가 생활을 위해 농사를 짓는 동시에 봉건군주들에게 빚을 지게 되었다.


FRENCH SOCIE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France 는 이른 Middle Ages때부터 계층 사회였다. 계층 사회는 몇몇의 귀족이 꼭대기 층에 위치하고 많은 노동자들과 농노들이 바닥부분을 차지하는 피라미드 모양의 구조였다. 물론 왕도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위치했다. 귀족들은 많은 특권들을 누리며 적은 세금을 냈다. 교회들도 소작농들에게 그들의 소득 중 10%의 세금을 물리게 하는 특권이 있었다.


THE PEASANTS

17세기의 France엔 대부분의 French 농부들은 작은 크기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고 중세시대의 농사 방법을 고수하고 있었고 England 나 Holland같은 다른 나라에 비해 적은 농작물만 재배할 수 있었다. 소수의 사람들만 글을 읽고 쓸 수 있던 소작농들은 열심히 일한 것에 비해 적은 돈이 지불되었다. 그들은 전염병과 기근의 희생자들이었고 미신에 의존하였다. 또 교육에 대한 기회 없었다.

소작농들은 군주소유 자산이나 정부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일하도록 강요 받았다. 그들은 작농을 방해하는 짐승들을 쫓아내거나 죽이는 것을 금지 당했으며 이것은 귀족들이 밭을 돌아다니며 사냥을 즐겼기 때문이다. 작물들이 훼손되곤 했지만 귀족들에게서 보상받을 수는 없었다.


CITY LIFE

Paris는 1700년대 France에서 주변 도시들 크기의 몇 배 되는 제일 큰 도시였고 6백만의 인구가 있었다. Seine에 위치하며 English 경로에서 145km 거리였으며 나라의 중심이었다. Paris에 살던 사람 대부분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외곽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가게주인, 장인, 직원이나 노동자들 같은 일을 찾은 사람들도 그들의 소득에서 반을 음식에 소비 해야 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빈민촌에서 가난하게 살았었다. 결과로 Paris는 거지, 부랑자 그리고 도둑들로 들끓었다.

동시에 번창하던 상인들과 귀족들은 그들의 부를 자랑하고 다녔다. 큰 자본의 유입과 함께 물가가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이 일어났다. 이 것 때문에 프랑스 사람들의 주식인 빵의 원료인 밀가루 값이 치솟았다.


THE BOURGEOISIE

FRANCE도 bourgeoisie 라고 불리는 중산층이 있었다. 이 사람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벤쳐에 투자하며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하지만 법과 규정들 때문에 bourgeoisie이 이익을 취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었다. 몇몇 사람들은 특정한 물건을 생산해 독점 판매 하였다. 몇몇 지역에서는 노동조합이 왕으로부터 특권을 받아 생산품의 양이나 비용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France는 많은 지역으로 나뉘어서 관세나 요금을 청구했다. 제대로 된 길이나 운하의 부족은 상황을 악화 시켰다. France는 사회기반시설이 부족했고 정부는 이 것에 관여하여 많은 일을 하지 않았다.


LOUIS XIV : THE EXTRAVAGANT SUN KING

“Sun King” 이라고 불리던 Louis XIV는 72년동안 France를 통치했다. 전제 군주제 시대 때 Louis는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그는 자기 자신을 French의 삶과 문화의 중시이라고 여겼다. Sun King이라는 이름도 그가 자기 자신에게 부여한 이름이었다. 이것은 자기 자신이 나라의 모든 빛의 근원지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Louise는 유럽의 군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 Paris의 남서쪽 Versailles라는 마을에 성을 지어 귀족과 함께 생활했다. 귀족들이 하는 모든 일은 Louise의 허락을 필요로 했다. Louise가 마음에 들어 하던 귀족들은 왕족 세레머니에 초대 되었다. 또한 귀족들은 왕 주변에서 어떻게 움직여야 되는지를 위해 발레를 배워야 되기도 했다. 귀족들은 정부에 속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거의 하는 일이 없었다. Louise는 나라를 통치하면서 자신이 내리는 결정과 몇 안되는 장관의 생각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의 말이 곧 법이었다.


THE BRINK OF DISASTER


Louis XIV는 자신의 이익과 French의 영토를 넓히기 위해서 몇 번의 전쟁에 관여 하였지만 그의 군사 작전은 크게 실패했다. 1660년도에 독일과 치뤘던 전쟁에서 France의 남동쪽 지역을 지킬 수 있었지만 왕의 보물들을 많이 잃었다.

Louise는 또한 Roman Catholic Church에 있어서 French 군주는 특별한 권력이 있다고 주장하며 Holy Roman Empire의 정치에도 관여하였다. 칼뱅교 반대세력에 한한 탄압으로 인해 인구가 대폭 감소하기도 했다. Huguenote라고 불리던 이 사람들은 보통 상업가나 기업가였다. 이러한 충돌들과 Louise의 지나친 사치와 함께 경제가 악화되었다. Louise XIV의 통치시대 동안 부채가 국익의 두 배였다.

Louis XV는 고작 다섯 살 때 그의 증조부 인 Louis XIV가 1715년에 죽으면서 왕좌에 앉았다. Louis XV의 통치 시대에 법정의 사치와 정부의 무능력함 때문에 France의 경제와 사회 발전은 연달아 실패하게 되었다.


THE REIGN OF LOUIS XVI

Louis XCI는 1774년에 왕좌에 앉았다. 그는 왕이 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앞으로 다가올 문제를 맞설 만한 French 통치자가 될 자질이 갖춰지지 않았다. Louis는 정치에는 관심이 없었고 결정권을 다른 이들에게 떠넘겼다.

France에 위기가 닥쳤을 때에도 Louis는 중산층과 하류 계층을 위해서 조금 관여 했을 뿐이었다. 그가 좋은 의도를 갖고 있었다고 해도 문제점을 이해하지 못했다. 공평하게 말하자면 문제점들은 한 사람이 바뀐다고 해결될 문제점이 아니었다.

예를 들어 지역마다 법 조항들이 달랐다. 어떤 법은 고대 Roman에 기초하고 있었고 다른 법은 지방의 관습에 기초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서 Paris지역의 법은 “Custom of Paris”라고 불렸다. 언어의 장벽도 단점으로 작용했다. 많은 프랑스 사람들이 프랑스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독일어나 지방 어를 사용했다. Louis의 통치기간에 상인들은 많은 세금과 의무를 받게 되었다. Paris에서 Mediterranean Sea까지의 물건 운송은 30개의 다른 세금을 물어야 했다. 결국 나라는 가난에 시달리게 되었다.

Louis는 중산층을 지지 해주지 않았다. 사업가나 변호사, 물리학자 같은 전문가들은 좌절 할 수 밖에 없었다.


LOUIS XVI AND MARIE ANTOINETTE

1770년 Louis XVI는 Austrian왕족 일원인 Marie Antoinette와 결혼했다. 이것은 Austria가 자주 France의 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Marie Antoinette는 사치가 심하고 비싼 물건들을 좋아해서 보석을 위해서 많은 돈을 소비했다. 시민들은 자신들이 가난 때문에 고통 받고 있는 시점에 자신에게 모든 행운을 쏟아 붓는 Marie를 싫어했다. Marie는 정부에 대한 정확한 의견을 가지고 있었지만 배우거나 경험한 것이 없어서 그녀가 내린 결정은 허술했다. 그녀는 관리들의 역할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정부 관리들을 뽑았다. 더 나아가서 자신이 맘에 들어 하지 않는 사람은 능력이 뛰어나도 자리에서 해고시켜 버렸다. 예를 들어 금융 장관이었던 A.R.이 귀족에게 세금을 붙이자 그를 해고시켜 버렸다.


NEW IDEAS

France 혁명은 사회에 관한 새로운 의견이 기재되고 논해지는 시점에 일어났다. 이러한 의견들은 철학가라고 알려진 사상가들에게서 나왔으며 이것들은 혁명의 시초였다.

철학가들은 사회화 정치를 논하고 해결점을 찾으려고 만났던 사람들이었다. 많은 프랑스 철학가들은 전제군주제랑 반대하였다. 또한 그들은 세상을 설명하는 데에 과학과 과학적 근거들의 힘을 믿는 사람들이었다. 특히 여자들은 이러한 사상들을 퍼뜨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들은 사회, 종교 그리고 정부에 대해 활발하게 토론했다. Louis XV의 아내 Madame de Pompadour는 자유 사상가들을 왕가 임원들에게서 보호하기 위해 여러 응접실을 지었다. 여자의 권리에 대한 사상들이 유럽 전 지역에 퍼졌다. 영국인 작가 Mary Astell과 Mary Willstonecraft의 업적은 프랑스에 큰 영향을 끼쳤다.


THE ENLIGHTENMENT

France가 여러 세기에 걸쳐서 가톨릭이었지만 많은 철학가들은 보수적이나 의심쩍어 보이는 종교들을 반대했다. 그들은 그들이 깨우쳐 진 사람들이라고 부르며 그들이 사는 시대를 계몽시대라고 불렀다. 이것의 과학과 인간의 지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이었고 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고 그것이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못하면 무엇이든 폐기되었다.

Britain에 일어난 일들은 철학가들에게 영향력을 끼쳤다. 그들은 중력을 발견한 영국인 물리학자 Isaac Newton과 영국인 철학가이며 “empiricism”을 창조한 John Locke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Empiricism”은 세상을 경험해야 만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사상이다. 다른 말로 우리의 감각을 이용하여 경험 하지 않는 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없다는 뜻이다.

철학가들이 교회와 충돌을 일으키고 교리를 수긍하지 않은 것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교회들은 나라의 통치자를 지지했지만 프랑스의 철학가들은 교회와 군주들이 바뀌던지 사라져야 된다고 생각했다.


Rousseau, Voltaire, and Montesquieu

Rousseau, Voltaire and Montesquieu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철학가들이다. 각자가 사회에 관한 새로운 사상이 있고 유럽과 미국 전 지역에서 추종자들이 있다.

Voltaire는 교회를 반대하고 자유를 추구하는 제일 유명한 철학가였다. 자신이 계몽된 군주라고 믿던 Prussia의 Frederick같은 여러 나라들의 통치자들이 그의 사상들을 수긍했다. 사실 Voltaire는 전제 군주제가 가회에 득이 된다고 믿던 사람 중 한 사람 이었다. 하지만 그는 불평등을 혐오하여 편견과 미신의 희생자들을 변호했다.

반면 Montesquieu는 통치자가 뽑힌 의회와 함께 일해야 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힘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싫었던 유럽 군주들은 그의 사상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

Jean Jacques Rousseau는 사회는 모두 어떤 법칙을 따라야 한다는 사회 계획을 추진했다. 예를 들어 각 시민들은 다수가 원하는 것에 동의해야 한다. Rousseau의 많은 사상들이 20세기에도 적용되었다. Rousseau의 추종자들은 사람이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살아야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다.

대다수의 철학가들과 그들의 지지자들은 패셔너블하고 경제적으로 여유 있었다. 그들은 카페에 앉아 신문을 읽고 정치, 과학 그리고 종교에 대해 논의할 시간이 많았다. 책이나 신문이 교회에 의해 통제됨에도 불구하고 저술가들은 법의 한계를 넘고자 했다.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거나 추방당했다.


THE REVOLUTION BEGINS : A CRISIS

Louis XIV이 썼던 돈은 대부분 세금이나 하위 계층과 중산층에게서 착취한 것이었다. Louis XIV의 통치 시대 때 France는 거의 파산될 위기였고 혁명이 가까워 오고 있었다.

철학가들의 뒤를 따르며 많은 French들이 정부에 대한 불쾌함을 표출했다. Royal court는 둘로 나누어 져 한쪽은 왕과 경제적 변화를 지지하고 다른 쪽은 Marie Antoinette와 귀족의 힘을 지지했다. 노동자층인 중산층과 몇 귀족들은 England에 한세기 동안 존재했던 한계성 민주주주와 비슷한 democracy를 수긍했다.

많은 French관리들과 군인들은 American Revolution에 관여했다 (France는 American colonists를 도와 Britain을 무찌르는 것을 도왔다). 미국인들은 개개인의 자유를 보호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추구했다. 철학가들과 그들의 추종자 들에게 France는 창피할 만큼 뒤쳐지고 있었다. France의 전제 군주제에 반해 America의 Republican government (공화국), 또는 England의 군주제는 더 발전 해 있었다.

France의 문제들은 1780년에 일어난 재해와 연속되는 기근으로 더 악화되었다. 몇 천명의 French 사람들이 배고픔에 굶주리고 있었다. 부모들이 아이들을 더 이상 먹여 살릴 수 없게 되자 사회에 가장 중요한 기관인 가정이 파괴되기 시작했다. 이 시점 40,000명 이상의 아이들이 버려졌다. Britain 의 산업 혁명도 French 사람들의 일자리를 대폭 줄였다. 처음으로 옷감이 기계의 도움으로 쉽게 만들어지고 싸게 수입이 되는 바람에 많은 일손이 필요치 않게 되었다. 실업률은 정부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였다. France의 실업자들은 굶주리고 불행하며 잃을게 더 이상 없었다. 혁명 중 Paris mob은 매우 폭력적이고 예상불가였고 테러를 결과했다.

Louis 는 정부를 비판하는 사람을 감옥에 넣거나 죽였다. 반군들이 Paris에서 높은 빵 값에 불평하자 왕의 군대는 그들을 쏘아 죽였다. 왕의 인지도는 현저히 떨어졌다. 그가 통치를 시작할 때에 시민들은 그가 France를 구할 수 있다고 믿었지만 이후 사람들은 실망하였다.


THE ESTATES GENERAL

France는 왕가 명령으로만 만들어진 “Estates General”이라고 불리는 의회를 가지고 있었다. Estates General은 세 개의 사회 계급의 대표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첫 번째 계급의 멤버는 성직자였다. 귀족이 두 번째 계급을 차지하고 중산층이 세 번째 계급에 있었다.

Estates General은 미팅을 자주 가졌다. 세 번째 계급이 첫 번째와 두 번째보다 훨씬 많았지만 연합으로 투표를 했다. 다른 말로 성직자들과 귀족이 중산층 보다 더 큰 투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Louis XVI는 정부에서 큰 위기를 맞이 했을 때만 Estates General을 불렀다. 금융장관 R. Turgot은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Marie Antoinette에 의해 정부에서 물러나야 했고 나라는 파산 위기에 처했다. 1789년 Louis는 Estates General에게 Versailles로 모이라고 명령했다. 그와 재무부인 그의 조카 Jacques Necker는 이 미팅이 자금을 모으는 방법을 모색해서 퍼지고 있는 폭동을 막았으면 했다.

Louis는 그들이 정부의 결정권을 원하는 것을 알아챘다. 하지만 그는 절대적인 권력을 나눠 줄 준비가 되지 않았다. 대신 Estates들에게 세금을 책정하는 결정권 같은 작은 책임들을 부여했다. 하지만 Estates General이 5월에 만났을 때는 이미 왕의 부탁을 받아드리지 않을 분위기였다. 모임 내 갈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France의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이 있었다.

THE SPIRIT OF REVOLUTION GROWS

프랑스의 시민들은 큰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감지하고 혁명 태세를 갖추었다. 몇 천명의 사람들이 민주화를 위해서 Versailles에 모여서 초조해 하며 소식을 기다렸다. 사람들은 새 역사가 쓰일 것 이라는 사실을 알고 France의 운명을 결정하는 미팅에 대한 기대를 품고 있었다.

6개월 후 세 번째 Estate가 다른 Estates에서 떨어져 나왔다. Count Mirabeau라는 사람이 리더로 있었고 멤버들은 그들이 National Assembly라고 불리는 새로운 정부를 수립 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그들은 목적은 France 의 새로운 헌법 설립이었다. 임원들은 왕이 그들의 미팅 장소를 폐쇄 하려는 것을 알고 화가 나 Royal Tennis Courts로 모였다. 이 후부터 이 곳은 새로운 France 정부가 설립 되기까지의 만남의 장소가 되었다. Louis는 약간의 민주주의적 변형으로 답변했지만 그는 거절 당했다. 그는 왕좌에서 물러나도록 강요 받고 다른 Estates로 하여금 National Assembly에 합류하라는 명령을 내리도록 요구 받았다.

시민들이 환호하며 Versailles와 Paris 길가를 가득 채웠다. French Revolution은 성공적으로 보였다.


THE FALL OF THE BASTILLE

평화는 그리 오래 가지 않았다. 빵 값이 치솟자 사람들이 Paris와 다른 도시들로 모였다. 시위대는 정치 수감자들을 꺼내주기 위해 교도소를 공격했다. 혁명은 리더의 손을 벗어나 통제하기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 Louis는 외국 용병으로 이루어진 군대를 Paris 와 Versailles에 보냈다. 사람들은 왕이 군대를 이용해 혁명을 막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1789년 7월 14일 시위대가 Bastille이라고 불리는 왕가 감옥과 요새를 공격했다. 군대는 시위대를 해체시키려고 했지만 Bastille은 곧 포위되었다. 감옥에는 7명의 수감자가 있었고 모두 탈출 했다. 시위대는 주지사의 목을 자르고 거리를 행진 하였다.

Bastille의 몰락은 Louis를 두렵게 했다. 그는 군대를 다시 거두어 들이는 것에 동의했다. 시민들은 Paris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Marquis de Lafayette 라고 불리는 American Revolution의 영웅으로 떠오른 사람이 지휘하는 새로운 부대를 만들었다.


THE GREAT FEAR

혁명은 주로 Paris 와 Versailles에서 일어났지만 혁명정신은 다른 곳까지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시골 쪽 소작농들도 큰 변화가 올 것이라는 것을 감지했다. 그들은 왕의 군대와 귀족들이 혁명을 막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들은 농촌에 퍼져나간 Great Fear라고 불리는 패닉을 결과했다. 소작농들은 귀족들의 저택을 휩쓸고 불태우며 몇 백명을 죽였다. 그들은 근무처들을 점령하고 봉건 서류들을 불태웠다.

Great Fear는 France의 몇몇 도시들을 제외 한 더 큰 지역들로 퍼져나갔다.


PARIS AND THE KING

1789년 8월 4일 National Assembly는 Versailles에서 만남을 가졌다. 그들은 한 번의 타격으로 모든 봉건 제도와 특권을 몰살 시키고 농노제도를 폐지 시켰다. 다음으로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다는 법을 선포했다.

이러한 변화들은 엄청났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것이 성취되었지만 사람들은 왕과 Assembly가 작은 도시들의 상태를 개선 할 수 있을지 의심했다. 그들은 정부가 Versailles가 아닌 Paris로 와야 된다고 생각했고 그들이 식량위기를 해결 할 수 있을 지 걱정했다.

11월 여자들로 이루어진 군중들이 왕을 만나기 위해 Paris에서 Versailles까지의 50km에 달하는 거리를 걷기로 했다. 행진하면서 다른 사람들도 합류하였다. Versailles에서 그들은 National Assembly를 공격하고 성을 휩쓸었다. 결국 왕과 왕비는 마지못해 Paris로 가기로 동의했다.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

이후 8월 National Assembly에 의해 통과된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이 선포 되었다. 이 것은 Americ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미국 독립 선언문)처럼 정부가 관여할 수 없는 사람의 기본적인 권리를 이야기 한다. 또한 English 철학가 John Locke와 Voltaire, Montesquieu 그리고 Rousseau와 같은 철학가들의 사상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선포문은 생각, 연설, 종교, 안전 그리고 자산의 자유를 보장했고 정부의 힘에 한계를 두었다.

National Assembly는 새로운 정부수립을 위해 빠르게 일했다. 대부분의 오래된 시스템은 사라지고 모든 귀족 이름은 무용지물이 되었다.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시민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정부가 교회의 통제 주도권과 자산을 장악하게 되었다. Assignats라고 불리는 화폐가 발행되었다. 새 정부는 곧 나라의 금융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같은 시각 Louis는 많은 귀족들이 England나 Switzerland같은 나라로 떠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이러한 망명자들은 오래된 시스템을 회복하고자 France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하고 있었다. Louis는 외국나라의 도움을 받아 군주제를 다시 적용하고자 했지만 이 것은 최악의 방법이었다. 군주제는 민주주의적 변화를 지지하지 않았고 그것은 신뢰되지 못했다.

왕가는 Varennes에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Louis는 France의 새 헌법을 수용하도록 강요되었다.

새로운 Legislative Assembly이 처음으로 1791년 11월 1일에 수립되었다. 이것은 협동하여 일하는 정부를 위해 세워졌지만 사람들이 너무 힘을 얻고자 하야 곧 실패하였다. Radical(급진주의) 들은 공화국을 원했고 중 당들은 헌법적 군주제를 원했으며 군주주의 지지자들은 왕의 힘을 회복하고자 했다.


A REVOLUTION DEVOURS ITS OWN CHILDREN

혁명의 마지막 단계, 혁명은 리더를 공격하는 듯 보였다. 두 파로 나눠진 중 당과 급진주의파, 그리고 완전한 공화국을 원치 않는 리더들은 의심받기 시작했다. 그들은 혁명이 폭력적으로 돌변하면서 체포되었다.


THE POLITICAL CLUBS

민주주의는 France에게 생소했으며 많은 관례들이 아직 성취되지 않고 있었다. 예를 들어 정치적 정당들이 아직 없었다. 대신 사람들은 정치적 견해가 맞는 사람들끼리 정치 클럽을 만들었다. 클럽들은 팜플렛을 만들고 자주 미팅을 열었고 마지막엔 혁명을 이끌게 되었다.

두 개의 가장 중요한 클럽들은 France의 Gironde라고 불리는 곳에서 온 사람들로 이루어진 Girondist와 Jacobins였다. 두개의 클럽들은 모두 중 당과 중산층에서부터 시작 되었다. 사실 Girondist들은 Jacobin 클럽에서부터 뻗어 나왔다. Girondist들은 정부의 변화를 추진했지만 몇몇의 혁명가들의 눈에는 극히 보수적으로 보였다. Jacobins는 급진주의파로 바뀌게 되고 공포시대를 일으킨 장본인이었다. 두 정당들은 힘을 가지고 서로 싸웠으며 Girondists가 지게 되었다. 거의 대부분이 단두대에서 사형을 당했다.


THE SANSCULOTTES

Sans-culottes는 대부분 Paris나 다른 큰 도시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상류 층을 원망했고 상업 층에 이익을 가져다 줄 개혁을 반대했다. 대신 national government로 하여감 물가를 내리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빵을 공급 해 주기를 원했다. Sans-culottes 들은 아주 폭력적이었고 Paris에서 시위대를 형성해 누구든지 혁명에 반대하는 사람은 공격했다.

Sans-culottes는 왕과 귀족들을 처형하고자 했던 급진주의파들을 지지했다. 그들은 팜플렛 작성자인 Jean-Paul을 따랐다. 그들은 초기 혁명의 지도자들을 중 당파라 여겼으며 많은 사람들을 체포하고 처형시켰고 그 중에는 Girondists였던 Madame Roland를 포함했다.


MARAT, DANTON AND ROBESPIERRE

Jean-Paul Marat, Jacques Danton과 Maximilien Robespierre는 혁명의 급진주의파의 리더였다. 그들은 군주에 대한 모든 일을 반대하고 왕을 재판하고 사형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누구든지 오래된 시스템을 회복하고자 하는 사람은 없애버렸다. 1793년 제일 급진주의파였던 Marat은 Girondist였던 Charlotte Corday에 의해 살해되었다. Danton과 Robespierre는 Jacobins의 도움으로 National Assembly와 혁명의 통제권을 얻었다.


THE REVOLUTIONARY WARS

이때쯤 유럽 정권들은 France에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 불안해 하고 있었다. 곧 나라가 왕의 세력을 바로잡으려고 했던 망명자들에게 의해 침략될게 뻔했기 때문이다. France는 1792년 봄에 Austria에 전쟁을 선포했다. France가 첫 번째 전쟁은 졌지만 혁명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 반대로 Marat, Danton, Robespierre와 다른 사람들은 외국군대가 전쟁에서 이겨 그들의 모든 권리를 앗아갈 것이라고 연설했다. 하지만 French군대인 Valmy가 전쟁에 승리했다.


THE END OF THE MONARCHY

전쟁과 일어난 여러 일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왕실을 의심쩍게 생각하게 만들었다. 새로 설립된 National Convention 은 왕이 나라를 상대로 지은 죄를 재판하고 그를 사형시키기로 결정했다. 왕은 이미 궁전에서 쫓겨난 이후였다. 왕은 “Citizen Louis Capet” 라는 이름으로 지은 죄에 대한 심판을 받았고 유죄로 판결 났다. 그는 1793년 1월 21일 단두대 위에서 처형 당했다. Marie Antoinette는 11월에 처형 당했다.


THE REIGN OF TERROR

왕의 재판과 사형은 정부의 중도파 멤버들이 Jacobins와 sans-coulottes에게 패배 하여서 일어난 일이었다. 혁명의 모든 방해꾼들과 Girondist 들이 체포되고 수감되었다.

1793년에서 1794년 사이는 “Reign of Terror” (공포시대) 라고 알려져 있다. 이 기간 동안 혁명정부는 거대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이 힘으로 누구든지 진보당 Jacobins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애버리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Law of Suspects는 귀족이나 그 전에 근무하던 임원들을 체포하는데 힘썼다. 시민권 서류로 시민임을 증명하지 못하는 사람은 곧바로 체포되고 사형되었다. 군대도 완전히 새로 재구성되었고 제정법원은 상업계의 질서를 지키기 위해 일했다. 음식 투기자들은 단두대에서 사형되고 모든 곡물 저장소와 빵집은 통제되었다.

몇몇을 제외하고 정부를 맞서고자 하는 사람은 없었다. Danton은 1794년에 사형당했고 약 37,000명의 사람들이 Reign of Terror기간에 단두대에 올랐다. Danton의 죽음 후 Robespierre가 독재정치로 France를 통치했다.


THE FALL OF ROBESPIERRE

Robespierre 는 정부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을 없애고 France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나라는 여러 면에서 현대화 되고 있었다. Metric system (미터법) 과 프랑스 혁명력이 소개되었다. 군대는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관리 되었고 새로운 학교들과 대학들이 교육을 위해 세워졌다. Robespierre는 망명자들의 모든 자산을 압수했다.

France가 더 강해지면서 사람들은 그의 독재정치를 두려워하기 시작했다. 그가 더 많은 시민들을 탄압 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그를 탄압했다. Robespierre가 자살하는 데에 실패하자 그는 곧바로 체포되고 주위 사람들과 함께 사형당했다.

Reign of Terror 기간이 끝났고 사형을 진심으로 반대했던 Robespierre는 몇 천명의 사람의 죽음을 불러 들였다.


THE DIRECTORY

Robespierre의 통치권은 중산층이 통제하던 Directory로 대체되었다. 새로운 정부는 자산가들에게 제일 큰 힘을 주었으며 이것은 돈이 많은 사람들이게 큰 특권이었다. 이런 종류의 사람들만 투표하고 정부임원을 뽑을 수 있었다.

평등의 날과 시민권이라는 타이틀은 사라지고 가난한 사람들의 진보도 쓸려갔다. 하지만 곧 Directory도 새로운 군주제를 설립하고자 하며 자신을 Emperor of France라고 부른 Napoleon Bonaparte로 인해 사라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가입/로그인 후 댓글 남겨 주세요.

로그인/회원가입
Total 51건 1 페이지
세컨더리-자료실 목록
  제목 작성일
43 대학진학 2023-05-04 13:23:20
28 학업관리 2024-03-22 10:02:41
53 대학진학 2024-05-28 17:13:36
38 대학진학 2024-05-14 09:16:09
37 대학진학 2024-05-14 09:10:34
36 대학진학 2024-05-14 09:08:17
35 TOEFL,SAT,AP 2024-04-27 12:46:15
34 TOEFL,SAT,AP 2024-04-27 12:44:10
31 학업관리 2024-03-22 14:47:56
30 학업관리 2024-03-22 14:35:53
29 학업관리 2024-03-22 10:12:42
27 학업관리 2024-03-06 13:03:35
26 학업관리 2024-03-06 12:44:46
25 학업관리 2024-03-06 12:35:56
24 학업관리 2024-03-06 10:42:12
23 학업관리 2024-02-20 15:12:55
22 학업관리 2024-02-20 15:05:45
21 학업관리 2024-02-20 13:51:21

검색

회원로그인


사이트 정보

접속자집계

오늘
16,546
어제
17,339
최대
17,339
전체
1,237,041
Copyright © IG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