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주 사회 10 Horizon 챕터1-전반적인 1800년도의 캐나다 역사 > 세컨더리-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세컨더리-자료실

학업관리 BC주 사회 10 Horizon 챕터1-전반적인 1800년도의 캐나다 역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IGE
댓글 0건 조회 107,777회 작성일 23-11-02 12:54

본문



Introduction (pg 10 ~ 11)


Tip: 전반적인 1800년도의 캐나다 역사. Lower Canada와 Upper Canada의 형성과 미국의 침략과 영국의 영향력


Key Vocabulary:


² Dawn: 시초

² Prosperous: 번영하는

² Eventually: 결국, 그 언젠가는, 머지않아

² Vast: 큰, 넓은

² Forbid: 금지하다

² Inhabit: 거주하다

² Settler: 정착민

² Native: 원주민

² Include: ~을 포함하다, 함유하다

² Take advantage of: (기회 등을) 이용하다

² Maritime: (일반적으로) 바다의

² Province: 지방, 도

² Disease: 질병

² Injustice: 부정, 부정한 행위, 부당

² Pay Attention: 주의를 기우리다

² Plight: 곤경

² Invade: 침입, 침범

² Possible: 가능한

² In fact: 사실상, 사실에 있어서

² Revolution: 혁명

² Loyalist: (미국 독립 전쟁 당시의) 영국 지지파의 사람[영국 보수 당원]

² Pension: 연금

² Gentry: 신사 계급 (귀족 아래 계급)

² Linger: 질질 끌다, 오래 머무르다

² Threat: 위협, 협박

² Consequence: 결과, 결론

² Foster: ~을 촉진하다

² Identity: 신원, 동일함

² Effort: 노력, 노고, 수고

² Accumulate: 축적하다, 쌓아 올리다

² Wealth: 부, 풍부

² Estate: 재산, 사유지

² Colony: 식민지

² Rigid: 엄격한

² Snobbery: 속물 근성, 신사 인척하기

² Confrontation: 대결, 직면

² Resent: 분개하다, 원망하다

² Rigid: 엄격한

² Rebellion: 반란, 반역, 폭동

² Broke out: 갑자기 하기 시작하다



19세기엔 캐나다는 발전되지 않았고 지금처럼 부유하지도 않았다. 산악지역은 농민들을 외면케 했고 정착민들에게는 추운 북부, 서부 캐나다 지역은 미국에 비해서 매력적이지 않았다. 수년 동안, British Columbia를 포함해 캐나다는 원주민들과 소규모의 모피 상인들을 제외하곤 아무도 살지 않았다. 캐나다 동쪽지역은 확실히 발전하고 있었다. 현재 Ontario 주를 칭하는 Upper Canada의 인구는 1812년 전쟁 후에 캐나다의 값싼 땅을 기회 삼아 유럽과 미국에서 온 이민자로 급격히 증가했다. Lower Canada (퀘벡에서 세인트 로렌스까지의 지역) 와 Maritime 주들은 (뉴파운랜드, 프린스 애드워드 아일랜드, 노바 스코샤, 뉴 브런스윅) England 와 New England의 관계를 유지하며 번창하였다. 하지만 유럽에서부터 온 질병들로 인해 많은 원주민들이 죽었고 그들의 땅들은 강탈 당하였다. 그러나 이런 부당함에도 불구하고 정착민들은 신경 쓰지 않았다. 이 시기에 많은 사람들은 미국은 캐나다의 잠재적인 적군이라 생각하였다. 지금과 같이 캐나다는 미국과 많은 교류를 하는데 초창기 정착민들은 대부분 미국인들이었고, 그들은 미국과 무역을 하였는데, 이것은 캐나다에 매우 중요했다. 하지만 캐나다는 미국혁명과 1812년 전쟁시기에 미국의 침입을 받게 되었고 많은 위협들로 인하여 캐나다는 영국과 강화된 유대 관계를 맺을 수 밖에 없었다. 보통 유지 (Community Leader: 지역에서 영향 있는 사람) 들은 Loyalist (미국사람이지만 미국혁명을 반대하고 영국을 지지하는 자)가족이었거나 연금을 받는 영국군인 또는 상류층 사람들 이었다. 역설적이지만 미국의 위협은 캐나다의 정체성을 찾는데 도모하였다. Upper Canada 와 Lower Canada의 지배 계급 사람들은 부유와 세력을 축적하고 미국방식의 정부를 영국령 북아메리카에 추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영국은 캐나다에 양반들을 위한 영국과 흡사한 사회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이민자들은 이것을 반대하였다. 미국에서 온 이민자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똑 같은 기회가 주어줘야 한다고 반대하였고 영국제도에서 온 이민자들은 엄격한 계급 제도에서 벗어 나고자 하는 이민자들에게 화를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문제는 상류층과 하류층 계급간 폭력적인 대립을 하게 되었다. 프랑스의 Lower Canada 프랑스인들은 상류층의 영국인들을 분개하게 하였고 결국엔 Upper 와 Lower Canada 두 곳 모두 반란이 시작되었다.



Canada: The Land (Pg 11 ~ 13)


Tip: 내용은 대략 밴쿠버에서 St.John’s 까지 고속도로로 차를 타고 얼마나 걸리고 이 고속도로가 어떻게 이어지는지 알려주면서 캐나다의 영토가 얼마나 큰지 설명해주는 내용이다.


Key Vocabulary


² History: 역사

² Affect: ~에 영향을 미친다

² Prime Minister: 수상

² Remark: 주목, 비평, 논평

² Geography: 지리학, 지형, 지세

² Region: 지방, 영역, 지대

² Examine: 시험하다, 심문하다

² Northern: 북부 방언의

² Degree: 도

² Latitude: 위도

² Border: 경계

² Historically: 역사적으로

² Attractive: 매력적인

² Proximity: 근접, 접근

² Weather: 날씨

² Warm: 따듯하다

² Landscape: 풍경, 경관

² Coast: 연안

² Distance: 거리

² Boundary: 경계, 경계선

² Arctic: 북극의, 북극지방

² Set off: 출발하다, 시작하다

² Journey: 여정, 여행

² Fertile: 비옥한, 기름진, 번식력이 있는

² Valley: 계곡, 골짜기 비슷한

² Canyon: 협곡

² Plateau: 고원

² Steep: 가파른

² Descend: 내려가다, 전해진다, 자손이다

² Foothill: 산기슭의 작은 언덕

² Waterfowl: 물새

² Prairie: 대초원

² Ponds: 연못

² Soil: 흙

² Probe: 탐사, 조사

² Edge: 가장자리

² Shield: 방패

² Massive: 크고 무거운

² Core: 응어리, 핵심

² Granite: 화강암

² Groups of Seven: 풍경화로 유명한 캐나다의 화가들의 그룹

² Mineral: 광물, 광석

² Cosmopolitan: 전 세계적인, 세계주의자

² Expansive: 팽창성 있는, 발전적인

² Renown: 명성

² Veer: 진행이 바뀌다. 변경

² Destination: 목적지

² Peninsula: 반도



작년에 캐나다 초창기 역사와 캐나다의 거대한 크기의 육지가 어떻게 캐나다 발전의 영향을 끼쳤는지 공부 하였을 것이다. 수상 William Lyon Mackenzie King (1874-1950)은 다른 나라들은 너무 많은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우리는 너무 많은 토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였다. 앞으로 이 책에서 캐나다 지역의 지형을 더욱 공부 할 것이다.

캐나다는 북쪽에 위치한 나라이다. 대부분의 영토는 위도 50도와 70도 사이에 위치해있고, 모든 지역에 겨울이 있다. 대부분 캐나다 사람들은 미국과 가까운 이유로 남쪽 국경 지역 도시에서 산다. 물론 더욱 따듯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Windsor, Ontario란 곳은 프랑스의 Riviera란 지역보다 더욱 남쪽에 있는데 이곳은 북쪽으로 위도 42도 밖에 안 되는 곳이다.

캐나다는 대단히 큰 지역을 보유하고 있는데 밴쿠버나 빅토리아에서 떠나서 꼬박 4일 동안 차를 타고 동쪽으로 가도 2/3도 못 갈 정도다. 밴쿠버에서 Prince George까지 차 타고 하루 종일 걸리는데 이곳은 British Columbia의 북쪽 경계선 반정도 미치는 거리이다. 밴쿠버에서 토론토 거리는 밴쿠버에서 북극 캐나다 끝자락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 9,916,140 제곱 킬로미터의 영토를 보유하고 있는 캐나다는 지구에서 2번째로 큰 나라이다. 만약 밴쿠버에서 Halifax (캐나다 동쪽 끝자락)까지 Trans-Canada 고속도로를 타고 간다면 고속도로는 비옥한 Fraser 계곡을 가로질러 거대한 협곡에 들어가는 걸 여정 초기에 알아 차릴 수 있을 거다. 이것은 코스트 산맥을 가로지를 수 있는 몇 개 안 되는 통로 중에 하나이다. 산악지역에 있는 많은 고속도로와 같이 British Columbia의 고속도로도 강 유역을 뒤따른다. 이 길은 Interior Plateau (서부 지역의 일부)을 가로질러 산맥을 타고 올라간다. 다른 길들은 남쪽으로 Okanagan 지역의 사막과 건조한 영토나 Kootenayas으로 이끈다. 록키산맥은 Alberta 서쪽 산맥을 구성한다. Calgary로 가기 위해서 Trans-Canada는 이 곳을 Kicking Horse Pass (캐나다 록키 산맥에 있는 고개)를 통해 가로질러 결국 Banff를 가로지른다. 이 정도까지가 2틀 내내 운전해야 올 수 있는 거리이다. Calgary서부턴 남쪽 초원의 유전과 물새가 있는 연못을 가로 지른다. 만약 Medicine Hat과 Regina를 지나쳤다면 Winnipeg을 도착하기 전에 Agassiz 호수를 가로 지를 때가 되었다. Winnipeg을 지나면 초원은 바뀐다. 몇 천 킬로를 운전하면서 한번도 보지 못한 바위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Trans- Canada로 Manitoba부터 Quebec 끝자락까지 뻗어있는 거대한 고대 화강암인 캐나다 순상지의 가장자리를 탐방할 수 있다. 이곳의 농장은 작고 더 나아가다 보면 농장이 아예 없다. 이곳은 우거진 삼림과 수천 개의 호수로 이루어 져있다. 이곳의 풍경의 Group of Seven (캐나다의 유명 풍경화 작가들의 그룹)으로 인해 유명해 졌다. Lake Superior에 도착하기 전에 이 삼림을 하루 종일 이동해야 한다.

이 고속도로는 Lake Superior를 따라 장거리 연장되고 Lake Superior의 모퉁이에 커브를 꺾어 남쪽으로 가면 Sault Ste. Marie라는 곳이 나온다. 그리곤 농장들이 다시 보일 것이다. 캐나다 순상지가 다시 보이고 Sudbury가 보인다. 이곳은 풍부한 광물로 유명하다. 점심 후에 Ottawa를 향해 남동부를 가거나 캐나다에서 제일 큰 토론토를 포함한 상업중심지 북동쪽 위에 위치한 Lake Simcoe가 있는 남쪽으로 간다. Trans-Canada는 이곳, 토론토를 회피하고 Montreal이랑 St.Lawrence로 간다. 이곳까지 6일이 걸린다. 캐나다 2번째로 큰 도시는 많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Montreal을 유럽도시의 느낌이 나고 국제적인 도시여서 좋아한다. 이제 도로는 이곳 Montreal을 벗어나 St.Lawrence 강 남쪽 부분을 따라 동쪽으로 향한다. Gaspe 근처에서 이 도로는 New Brunswick과 Saint John River Valley를 향해 방향을 바꾼다. Saint John River Valley는 가을에 단풍잎의 아름다운 단풍 색깔로 유명하다 봄엔 메이플시럽 만드는 냄새로 가득 찬다. New Brunswick부터 Tran-Canada는 Halifax의 오래된 도시 Nova Scotia로 향하고 그 후 Newfoundland로 가기 위해 북쪽으로 간다. (이곳은 Ferry를 이용해서 감) 드디어 마지막 목적지인 St. John’s 에서 9일 동안의 여정은 끝이 난다. 당신은 캐나다의 한쪽 해안에서부터 다른 쪽 해안까지 여행 했다.

The Land of Yesterday (pg 14)


Tip: 캐나다 지역마다의 특성지형을 설명. 초창기 시절에 이민자들이 어디서 주로 거주하였고 어떤 일로 생계를 꾸려나갔는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


Key Vocabulary


² Pour: 쇄도하다, 따르기

² Attract: 인력이 있다. 매혹하다

² Relatively: 상대적으로

² Inexpensive: 비싸지 않은, 값이 싼

² Steady: 안정된, 견실한

² Economy: 경제

² Based on: ~을 바탕으로 한

² Practices: 습관, 실행, 연습

² Endure: ~견디다, 계속하다

² Entrepreneur: 기업가

² Timber: 재목, 목재로 짓다

² Drain: 배수를 하다, 고름을 짜내다

² Competition: 경쟁, 시합

² Claim: 주장, 요구, 청구

² Grove: 작은 숲

² Desirable: 바람직한, 호감이 가는

² Barrier: 장애, 장벽, 울타리

² Agriculture: 농업, 농사, 농예

² Strewn: 흩뿌려진

² Climate: 기후

² Ideal: 이상적인

² Agriculture: 농업, 농사, 농예

² Consider: 고려하다, ~에 주의를 기울이다

² Remote: 외진, 외딴곳



캐나다 역사는 지리로 인해 항상 많은 영향을 미치었다. 1812년 전쟁 후에 정착민들은 풍부하고 비교적 값이 싼 농장이 많은 Upper Canada로 몰렸다. Lower Canada인 Quebec 주에선 200년 동안 안정적이게 농사로 그 경제를 이어 나갔고, Quebec주의 상업 자본인 Montreal은 스코틀랜드와 미국 기업인들을 매혹 시켰다. 바닷가에선 정착민들은 잘 정착하였고 안정적이었다. 배를 만드는 센터가 있었고 England 와 New England와 무역을 하였다. New Foundland는 그 시대에 목재업과 어업으로 번창하였다. 1800년도에 New Foundland 해안엔 16,000명의 사람이 살았고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북서쪽, 록키산맥의 북쪽 Labrador에서 Hudson’s Bay사는 Hudson만에 들어오는 강물을 쓰는 영토는 모두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했다. 경쟁사는 North West사는 남쪽의 모피 무역 상업 세력과 록키 산맥을 넘어 그 세력을 장악하기 위해 애썼다. 러시아, 미국, 스페인인들은 British Columbia의 해안이 자기네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영국령 북미의 대부분 이민자들은 농사를 짓기 원했다. Upper Canada의 비옥한 흙과 목재용 나무들로 풍성한 숲은 굉장히 매력적이었다. 물론 미국이랑 수로가 가깝기 때문에 제일 매력적 이었다. 이것은 모두 남쪽에 있었다. 북쪽에 지금의 Barrie는 바위들이 많은 지형으로 인해 농업이 불가능했다. Georgia Bay의 남쪽부분도 종종 바위가 많았고 기후가 농업에 적절치 않았다. 이 시대엔 도로가 몇 개 없었고 100Km를 가려면 몇 일이 걸렸다. 50Km 거리인 York, Cornwall, 또는 Niagara는 외진 곳으로 여겨졌다.

Land for the Fur Trade (pg 14~15)


Tip: 캐나다 모피 무역의 총체적인 역사와 무역으로 인한 영향력을 설명한 지문.


Key Vocabulary


² Accept: 받아 들이다, 받다

² Reserve: 비축

² Trade: 무역

² Dozen: 12개의, 다수

² Metis: 프랑스계 캐나다인과 북미 인디언과의 혼혈아

² Aboriginal: 원주민

² Determine: 결심하다, 측정하다

² Prevent: 예방하다

² Pioneer: 개척자

² Canal: 운하, 용수로

² Conflict: 충돌하다, 투쟁

² Culture: 문화

² Ally: 동맹국, 동맹

² Settlement: 정주, 해결, 확정

² Precious: 값비싼, 귀중한

² Commodity: 상품

² Century: 세기, 100년

² Company: 회사

² Struggle: 고투, 노력

² Merge: 합병

² Independent: 독립적인

² Monopoly: 독점, 전매, 독차지

² Charter: 헌장, 특허에 의한

² Exclusive: 배타적인, 독점적인

² Punish: 강타하다, 혼내주다

² Afterward: 나중에, 이후

² Network: 연결 망

² Territory: 영토, 영지, 판도



대부분의 유럽인들은 Great Lakes의 서쪽과 북쪽 부분은 모피 무역의 지역으로 인정하였다. 1820년도에 Metis (프랑스와 원주민의 후손)와 원주민, 혹은 모피 무역에서 일을 안 하는 사람들을 제외하곤 Great Lakes에 12명도 안 되는 사람들이 살았다. 대부분의 원주민들과 Metis 사람들은 무역으로 인해 어떻게든 엮어 있다. 유럽 혹은 미국 이민자들이 서쪽에 농업을 하고 싶어도 정착을 막기 위한 모피 무역상, 원주민, Metis 사람들로 인해 하지 못하였다. 개척자들은 경계선, 도로, 운하, 학교, 그리고 제일 중요한 자신들의 땅을 원했다. 이런 목표는 서부사람들의 문화, 생활 방식, 경제에 갈등이 처해졌다. 모피무역상들은 정착 자들을 상대로 자연스럽게 원주민들과 Metis와 동맹을 맺었다. 모피는 16세기부터 캐나다에서 최초 수입했을 때부터 유럽과 아시아에서 귀중한 상품이었다. 19세기 초에, 모피 무역 회사들은 제일 큰 두 개의 회사가 1981년에 합병하기 전까지 생존하기 위해 힘겹게 나아갔다. 개인의 모피 무역상들도 있었지만, 오직 독점권을 갖고 있는 큰 회사들만 많은 돈을 벌었다. 제일 큰 회사는 Hudson’s Bay사이다. 헌장과 정부의 독점권을 가지고 있는 이 회사는 여러 지역에서 무역을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 지역에서 무역을 하는 사람을 발견하면 그들을 벌할 수 있었고 벌한 적 도 있다. 1763년 New France의 몰락 이전에 Bay사의 독점권은 프랑스사람들로부터 위협을 받았다. 그 후, 대부분의 무역상들은 (대부분 스코트랜드 사람) 옛 프랑스 무역 망을 이용하였고 ‘Montrealers’(몬트리얼 사람), Bay사의 경쟁사인 North West사와 함께 Bay사의 독점권을 깨기 위해 노력했다.




Upper Canada (pg 16~17)


Tip: Upper Canada (현재의 온타리오 주)의 초창기 모습을 설명하고 정착민들이 어떻게 살아 나아갔는지를 설명해준다.


Key Vocabulary


² Newest: 새로운, 최근에

² Undeveloped: 미개발의, 미발달의

² Military: 군의, 군대

² Route: 길, 노정, 항로

² Bush: 관목, 관목 숲

² Village: 마을

² Oak: 떡갈나무

² Ash: 재

² Occupy: 차지하다, 점유하다

² Wilderness: 황야

² Task: 과업, 직무, 업무

² Hectare: 헥타르 (단위)

² Notice: 주의, 통지

² Accustom: 익히다, 익숙케 하다

² Sort of: 얼마간, 다소

² Din: 소음

² Sawmill: 제재소

² Smithy: 대장장이; Blacksmith

² Fiddle: 바이올린

² Instrument: 기구, 악기

² Occasional: 때때로의

² Christening: 세례식

² Treat: 선물

² Common: 공통의, 보통의

² Neighbour: 이웃

² Clergy: 성직자

² Community: 지역 공동체

² Hire: 고용하다

² Lodging: 숙박

² Crop: 농작물

² Debt: 빚

² Obtain: 습득하다

² Mortgage: 저당



19세기 초기에 Upper Canada는 영국령 북미 식민지의 최신이자 제일 발전되지 않은 곳이었다. 1812년 전쟁 때, Upper Canada는 대부분 정착민으로 구성된 미국인들로 인해 함락될 뻔 했다. 거기엔 군사 경로를 포함해 길이 별로 없었다. 예를 들어, Yonge과 Dundas (길 이름)은 관목들 사이로 가로지르는 발자취 밖에 없었다. York (수도)에서 30~40 km 떨어진 곳은 모두 외딴 곳으로 여겨졌다. 숲 속은 많은 나무 (단풍, 호두 나무 등)들로 우거졌다. 원주민들은 이 땅을 수 천년 동안 영유하였지만 유럽 정착민들은 Upper Canada를 살지 못하는 땅으로 생각했다. 토지를 개간하는 것이 그들의 첫 번째 일이었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 되었다. 1년에 1 헥타르 이상 개간하기는 힘들었다. 평균적으로, 25 헥타르의 땅을 개간하려면 한 가족이 20년이나 더 많은 시간을 투자 해야 했었다. 1820년도의 Upper Canada의 삶은 어땠을까? 시간을 되돌려 그 시대에 직접 가본다면, 처음으로 고요함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시끄럽고, 우리는 소음과 함께 살아간다. 개척자들에겐 짐승의 울음소리나 제재소, 혹은 대장간의 소리 정도를 시끄럽게 여겼다. 가끔 열리는 파티나 결혼과 세례식과 같은 중요한 사회적 이벤트에서 울려 퍼지는 바이올린과 악기 소리는 선물이었다. 그 당시에는 지금보다 이웃을 도와주거나 방문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었다. 사람들은 교회 가는 것과 이동하는 성직자들을 초대해주는 것을 기대했다. 때론 작은 학교를 건설해 선생님을 고용하고 종종 농산물, 하숙 과 식사로 그 값을 지불하였다. 삶은 고됐다. 농작물을 가족끼리 다 먹어 없어지지 않거나 수확 물을 팔아서 빚을 갚으려면 수년을 길러야 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은 빚을 졌거나 공급을 위해 다음 수확 물을 담보를 서야 했다.




A Barter Economy (Pg 18)


Tip: 1800년대에 캐나다의 경제시스템인 교환경제의 설명, 예를 들어 사람들이 현금대신 어떻게 재화와 용역을 이용했는지에 대한 설명과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것을 설명


Key Vocabulary


² Money Economy: 금융경제

² Barter Economy: 교환경제

² Differs: ~ 다르다

² Operate: 운영하다

² Participate: 참가, 참여

² Barter: 물물교환

² Exchange: 교환하다

² Carpenter: 목수

² Wheat: 밀

² Product: 성과, 소산, 결과

² Transaction: 거래, 매매

² Inefficient: 비능률적인, 효과 없는

² Fairly: 꽤, 상당히

² Bushel: 8 갤론

² Persist: 지속되다

² Crises: 위기

² Upheaval: 대변동

² Collapse: 붕괴

² Former: 전자의, 전의

² Re-emerge: 다시 나타나다

² Distributing: 분배하다

² Advertise: 광고

² Cashless: 현금이 없는

² Revenue: 세입 수입



현대 사람들은 금융경제에 살아가고 있다. 초기 1800년대에 캐나다의 경제시스템은 지금 모습과는 많이 다르다. 그 시절엔 큰 정착지 밖에서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교환 경제를 이용했다. 사람들은 재화나 용역을 돈 대신 물건을 주거나 교환 하였다. 예를 들어, 농사꾼이 대장장이나 목수, 의사들에게 밀이나 단풍당으로 그 값을 지불 하였다. 처음엔 재화나 용역을 달러로 가치를 매겼으나, 교환방식이 생겨났다. 70퍼센트가 넘는 상거래가 물물교환으로 이루어졌다. 물물교환은 보기엔 어려워 보이지만 비즈니스 외에 재화나 용역의 값은 일정 했다. 예를 들어 연구에 따르면 그 시대에 Upper Canada에서 밀의 부셸의 가격은 조금밖에 변화하지 않았다. 교환경제는 아직까지 지속되어 있다. 금융위기, 예를 들어 소련의 붕괴 후 러시아의 동란 때 재화와 용역을 교환을 통해서 지불하였다. 현재 캐나다에서도 파산위기에 있는 작은 회사들은 서로 물물 교환을 한다. 예를 들어 작은 인쇄 회사는 작은 신문사에 공짜광고와 인쇄 서비스를 맞교환 할 수 있다. 하지만 국세청은 이러한 현금이 필요 없는 거래를 알고 싶어한다. 두 단체는 재화와 용역의 가치가 현금으로 제시된 세금 명세서를 발행하고 과세 소득을 보고 해야 한다.



The Family Compact (pg 19)


Tip: 1791~ 1841년 Upper Canada를 지배한 과두 정치를 설명한 지문



Key Vocabulary


² Superior: 상위의, 우월한

² Family Compact: 가족 맹약

² Official: 공무원, 공식의

² Descendant: 후손, 자손

² Loyalist: 현 체제 지지자, 충신, 애국자

² Rightness: 정직, 공정

² Aristocracy: 귀족 사회, 상위 계급

² Executive: 행정부, 집행부, 행정상의

² Social: 사회적인, 사회상의

² Appointment: 임명, 약속

² Private: 비밀

² Relate: 관계가 있다

² Alike: 비슷하다, 유사하다

² Author: 작가

² Describe: 설명하다

² Excerpt: 발췌

² Budget: 예산



Upper Canada에 자신들이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정착민들이 있었다. 가족 맹약은 국왕파의 후손으로써 귀족정치의 정당성과 영국과의 유대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행정 위원회로 구성돼있어서 정부의 예산과 직위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그들은 굉장히 속물이었고, 심지어 영국에서 온 귀족 손님들도 그들을 보면 치를 떨 정도였다. 비밀조직으로 운영되었고, 그들은 서로 아는 사이거나 때론 가족관계였다. 그리고 그들은 비슷한 옷을 입었다.


The Importance of Social Class (pg19~20)


Tip: Upper Canada에서의 사회계급을 설명; 유럽과 영국에 달리, Upper Canada에서는 계급이 없었다.


Key Vocabulary


² Social class: 사회 계급

² Financial: 재정상의

² Superior: 상위의

² React: 반응하다, 작용하다

² Priority: 우선권

² Pension: 연금

² Chagrin: 분노, 원통

² Back-Breaking: 고된

² Labour: 노동

² Maintain: 유지

² Respectful: 존경하는, 경의를 표하는

² Overpopulation: 인구 과잉

² Lack: 부족한, 결핍

² Desperate: 필사적인, 열망하다

² Employment: 일, 고용, 일자리

² Socialize: 사회화 하다

² Particular: 특히

² Servant: 하인



Upper Canada에서의 경험에 대한 이민자들의 반응이 사회계급과 금융수단으로 결정된다. 하지만 Upper Canada에서는 그들의 우선권을 바꾸어 사람들을 평등화 시키는 방법이 있다. 많은 영국 귀족의 어린 아이나 연금을 받는 영국군들은 그들의 가족들과 이 식민지에 살기 위해 왔다. 원통하게도 그들은 직접 고된 건축이나 농사일을 해야 됐다. 값싼 재화와 용화와 공손한 하인들은 오기 어려웠다. 유럽에서는 인구 과잉과 부족한 노동법은 가난한 사람들을 고용에 필사적으로 바꾸었다. 그래서 상류층 사람들은 하류층 계급사람들로부터 별거하여 살수 있었다. 하지만 Upper Canada에선 이렇지 않았다. 대부분의 정착민들은 자신들의 이웃이 필요한 것을 깨우쳤고 그들의 배경과 상관없이 사교적으로 대했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영국이 자신의 진짜 고향이라 꾸준히 생각했다. 특히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영국 문화의 관심을 가졌고 그들은 그들 자신을 Canadian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저 영국사람들이 새로운 토지에 정착한다고 생각했다.


The Problem of Land (Pg 20~21)


Tip: Upper Canada에서 일어난 땅 문제를 설명. 이민자들은 땅을 구하지 못하여 고난을 겪은 내용과 투기업자들의 활동 내용


Key Vocabulary


² Freehold: 자유 보유

² Engage: 고용하다, 끌다, 사로잡다

² Industry: 산업, 공업

² Absentee: 부재 지주

² Landowner: 토지 소유자

² Speculator: 투기자

² Expect: 생각하다, 예상하다

² Advertise: 광고

² Campaign: 캠페인, 운동, 조직적 활동

² Access: 통로, 입구, 접근하는 방법

² Associate: 교제하다, 연상하다, 제휴하다

² Restriction: 제한된

² Hardship: 고난, 곤란

² Discontent: 불만, 불만스러운

² Privilege: 특권

² Dupe: 사기, 속다

² Dissatisfaction: 불만족

² Government: 정부

² Major: 주요

² Profit: 이익, 이득, 이윤

² Land Speculator: 영토 투기업자

² Prime: 가장 중요한

² Commodity: 상품

² Govern: 통치하다

² Demand: 수요

² Value: 가치

² Parcel: 꾸러미, 소포

² Immensely: 광대하게, 매우



Upper Canada에 온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사일에 관심을 보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땅을 원했고 그들만의 자유 보유 농장에서 농사꾼이 되길 원하였다. 다른 사람들은 예를 들어 대장장이나, 짐마차 제조 등 농장에 도움되는 사업이나 산업에 종사했다. 하지만 많은 정착민들은 이미 좋은 땅들은 부재 지주들이나 투기업자들이 매입한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것은 그들이 바랬던 건 아니었다. 영국과 유럽국가에서의 광고가 사람들로 하여금 도시와 시장과 근접한 좋고 싼 땅들을 살 수 있을 거라 믿게 했다. 제한된 땅들과 열악한 도로는 그들을 고난에 빠지게 했고 불만을 초래했다. 심지어 영국에서 온 특권 계급 사람들도 사기를 당했다고 깨달았다. 땅 문제가 식민지 정부에 대한 근본적인 불만의 원인이었다. 이 문제는 1837년 Upper Canada에서 일어난 주요 폭동을 일으킨다. 많은 가족 맹약 멤버들은 토지 투기 자였고 이러한 활동으로 거대한 수익을 거두었다. 투기업자들은 미국과 Great Lake와 근접한 Upper Canada의 남쪽지역 넓은 영역의 주요 토지의 소유권을 가져갔다. 다른 상품들과 마찬가지로 공급과 수요의 법칙의 의해서 땅의 가치가 결정된다. 좋은 땅들이 없을수록 그의 가치는 올라간다. 많은 땅들은 가지고 있으면 팔아서 투기업자들은 돈을 벌고 동시에 다른 땅들을 남겨둔다. 정부와 성직들의 지정지역들로 하여금 공급 문제는 더욱 복잡하게 되었다.




Clergy and Crown Reserves (pg21)


Key Vocabulary


² Crown: 왕관, 정부

² Set Aside: 제쳐놓다

² Provide: 제공하다

² Income: 수입, 소득

² Anglican: 영국 국교회계

² Idle: 일하지 않은, 한가한, 나태한

² Scatter: 뿔뿔이 흩어진

² Township: 읍

² Grief: 비탄, 슬픔

² Irritation: 안전부절 못함, 성난

² Waste of time: 시간낭비

² Allow: 허락하다

² Adopt: 채용하다, 차용하다

² Attitude: 태도

² Rebel: 반역자, 반역의

² Arable: 농작 가능한



정부와 성직자들의 지정지역은 판매와 임대를 통하여 정부가 수익을 얻기 위하거나 영국 국교회계 교회를 위해 따로 지정해 둔 땅을 일컫는다. 이 땅은 Upper Canada의 2/7의 영토이다. 이 땅의 대부분은 사용되지 않았다. 이 땅들은 뿔뿔이 흩어져 개간되지 않은 채로 읍을 가로질렀다. 또한 이 지역은 도로 개발을 허용 하지 않아 정착민들을 비탄에 잠기게 했다. 농부들은 다른 지역을 이동할 때 이 지역을 우회 해서 가야 했다. 이것은 시간 낭비뿐만 아니라 그들의 속을 타게 했다. 게다가 농작가능 한 주요 땅들을 묶어놓았는데 공급과수요의 경제 때문이다. 이것은 값의 가치를 더운 높여 주기 때문이다.


The Role of the British Government (pg21~22)


Key Vocabulary


² Partly: 부분적인

² Attitude: 태도, 몸가짐, 마음가짐

² Duplicate: 사본, 복사, 복제

² Institution: 협회, 학회, 시설

² Contrary: 상반되는, 반대의

² Republican: 공화국의, 공화주의자, 공화당원

² Discriminatory: 차별적인, 편견을 가진

² Succeed: 성공적인

² Principle: 원리, 원칙

² Policy: 방침, 정책

² Democratic: 민주 정체의, 민주주의의

² Absolutely: 완전히

² Respective: 각자의

² Acquire: 취득하다, 얻다, 습득하다

² Divest: 박탈하다, 빼앗다, 벗기다

² Implement: 도구, 용구, 기구

² Prove: 증명하다

² Backwoods: 오지, 오지의

² Retired: 은퇴한

² Bulk of: 큰, 대부분의

² Circumstance: 환경, 상황

² Situation: 위치, 상태

² Acquire: 취득하다, 얻다

² Tracts: 지역, 지방

² Purchase: 구입하다

² Indeed: 참으로, 실로

² Generous: 아끼지 않은, 관대한

² Responsible: 책임이 있는

² Estate: 재산, 사유지, 부동산




Upper Canada의 땅 문제는 영국 정부의 태도와 영국의 토지소유의 규범을 복제 하기 위한 욕망으로 인해 생겨났다. 영국은 귀족들이 많은 영토를 지배 하고 있었다. 정부는 귀족들이 나라를 제일 잘 다스릴 수 있을 꺼라 생각했다. 캐나다의 넓은 영토를 소유하고 있는 특권계급의 소유자들이 있는 것도 이와 같은 개념이다. 영국과 유대관계 유지와 영국의 사회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선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했다. 이 개념은 공화주의자들이 바라본 시선은 완전 상반 되었다.

그들은 개인의 노력으로 인해 성공할 수 있어야 하며, 영국의 정책 원칙은 차별적이고 반민주주의라고 느꼈다. 이건 완벽하게 옳은 말이다. 마지막으로 영국이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에 원했던 것은 미국의 태도와 가치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미국은 성공적으로 영국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나? Upper Canada에 대한 영국의 계획은 John Graves Simcoe 첫 총독에 의해서 실행되었다.

하지만 이 계획은 1812년 전쟁이 지난 후에도 계속 되었다. 오지의 땅이었던 캐나다는 귀족들에겐 관심이 없었지만, 은퇴한 군 장교와 그들의 가족과 신사계급 사람들에겐 관심을 샀다. 영국의 법은 땅을 소유하고 있는 아버지께서 돌아가시면 장남인 아들이 상속을 받았다. 차남들은 입대를 하거나 교회에 들어갔다.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이상 영국에선 차남들은 토지를 소유할 수 없다. 캐나다에선 다르다. 수천 헥타르의 땅들은 소유할 수 있거나 개발 가능 하였다. 캐나다 정부는 부동산회사에 예를 들어 캐나다 회사에 헐값에 주요 땅들을 살 수 있게 허가해 주었다. 캐나다 회사는 가족 맹약과 관계가 있어, Lake Ontario 부터 Lake Huron까지 땅을 매입할 수 있었다.

100만 헥타르의 땅을 295 000 파운드를 16년 동안 지출 하는 것을 정부는 받아 드렸다. 관대하게 보일 수 있지만 정착민들을 매료하는 일은 캐나다 회사에게 책임을 떠 넘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기 자들은 10년 안에 그들의 돈을 두 배로 뛰게 할 수 있었다. 1815년도엔 Upper Canada 서부 지역 절반의 평평하고 바위도 없고 흙이 있는 좋은 땅들은 투기 자들이 소유 하고 있었다.





The Immigrant Experience (pg23~24)


Tip: 최초 이민자들이 겪었던 경험을 바탕을 설명한 지문. 그들의 고난과 어떻게 오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


Key Vocabulary


² Prepare: 준비가 되어있는, 설치되어 있는

² Wave: 물결, 파동, 파도

² Eastern Township: 몬트리올과 퀘벡 사이에 있는 지역

² Corridor: 복도, 회랑, 낭하

² Seigneurial: 봉건 군주의, 지주의

² Generation: 시대

² Sold off: 매각

² Treaty: 조약, 협정, 교섭

² Attempt: 시도하다

² Surveyor: 측량사, 감독자, 수입품 검사관

² Primarily: 우선적으로

² Widespread: 광범하게 퍼진

² Potential: 잠재적인

² Woo: 구애하다, 얻으려고 노력하다, 지지를 얻으려고 애쓰다

² Promise: 약속, 밝은 전망

² Embellish: 아름답게 꾸미다

² Copy: 광고에 쓰이는 문자

² Optimistic: 낙관주의, 낙천적인

² Awakening: 지각, 사람들이 깨닫다

² Costly: 값이 비싼

² Trip: 여정

² Venture: 모험

² Seperation: 결별

² Infamous: 악명 높은, 매우 평판이 나쁜, 수치스러운

² Coffin Ship: 털털이배



영국령 북아메리카나 Lower Canada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1812년 전쟁이 다가올 무렵 많은 이민자들이 올 것을 준비 하지 못했다.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Upper Canada에 정착하였고, 다소의 사람들은 Lower Canada에 있는 Quebec과 Montreal 사이에 있는 마을에 정착하였다. 오랫동안 정착해 있던 정착민들과 프랑스 사람들로 가득 차 St.Lawrence는 정착할 수 없었다. 오랜 세대 동안 이 곳은 봉건 군주의 제도 바탕으로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Upper Canada의 Grand River를 따라 거주하는 Mohawks 지도자 같은 국가의 여섯 지도자들은 땅을 매각 하려는 영국인들로 부 터 경계를 늦추지 않을 수 없었다. 다른 원주민 지도자들은 자신의 영토를 보호하고자 조약을 맺었다. 감정인들은 항상 정착민들보다 먼저 도착하여 영토를 마을로 나누고 미래의 도로를 위해 길을 내었다. 원래는 영국과 미국에서 이민을 많이 왔는데 그 중엔 광고에 매료된 유럽국가에서 온 이민자들도 종종 있었다. 값싸고 기름진 땅과 마을과 시장에서 가까운 땅을 구입할 수 있다는 말에 매료되어 바이어들도 오곤 했다. 그 광고는 낙관적인 캐나다의 삶을 그린 색채가 풍부하고 멋진 광고문이었다. Atlantic을 건너는 여정은 처음으로 자각한 거친 경험이었다. 캐나다로 이동하는 비용은 비쌌고 감정적인 모험이었다. 그들은 여정에서 돈을 다 썼고, 식민지에서 1~2년 살면서 공급 품들도 다 소모 했다. 새로운 정착민들은 그들의 가족과 친구들과 길고 긴 별거에 마음 준비를 해야 했다. 캐나다는 배타고 한 달이 넘는 시간 걸려 많은 이민자들은 살아 남지 못하였다. 대부분의 정착민들은 두 번 다신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영국이나 유럽에 돌아가서 볼 수 없을 거라 생각했다. 현재는 그러한 별거를 이해하기 힘들다. (비행기 등 교통 수단이 늘어서) 캐나다로 여정을 떠난 사람들은 용기와 의지가 있었다. 특히 털털이배를 타고 온 가난한 사람들은 필사적이었다.



Deadly Journey (pg24)


Tip: 영국과 유럽에 가난한 이민자들이 캐나다로 어떤 수단으로 왔는지 설명. 고되고 비참한 상황을 설명


Key Vocabulary


² Displace: 치환하다, ~을 대신하다

² Tenant Farmer: 소작인, 소작농

² Escape: 벗어 나오다, 새어 나오다

² Stifling: 숨막히는 듯한, 답답한, 숨이 가뿐

² Above-deck: 갑판 위에

² Cabin: 객실, 오두막집

² Pleasant: 즐거운, 유쾌한

² Overload: 과부하

² Steerage: 배의 한 구획, 보통 선실

² Filthy: 더러운

² Apparent: 명백한, 확실히 보이는

² Voyage: 항해, 항해하다

² Convert: 변환하다

² Cargo: 뱃짐

² Otherwise: 그렇지 않으면

² Facility: 시설

² Profit: 이익, 이득, 이윤

² Stow: 채워 넣다, 수용 할 수 있다

² Hygiene: 위생

² Contagious: 전염성의

² Steerage: 배의 한 구획

² Squeeze: 짜기, 꽉 쥐기

² Extraordinary: 비상한, 현저한

² Ill: 병든

² Plagues: 역병, 전염병



영국의 도시와 지방의 인구과잉으로 인해 캐나다로 이민자들이 많이 몰렸다. 아일랜드와 스코트랜드에서 온 가난한 사람과 소작인들은 자신의 땅을 가질 수 있다는 생각과 억압된 계급 제도에서 벗어 날 수 있다 는 생각에 꿈이 부풀었다. 하지만 상류층 사람들과는 다르게 대부분의 사람들은 캐나다까지 갈 비용이 없었다. 상류층 사람들은 갑판 위 객실에서 여정을 지냈지만, 못사는 사람들은 갑판아래 더럽고 짐으로 가득 찬 짐칸에서 여정을 지냈다. 많은 사람들은 살아 남지 못했다. 주로 북미에서 유럽으로 대게 나무와 다른 물건들을 수송했다. 돌아가는 길엔 짐칸이 비어 있기 때문에 배 주인들은 그 짐칸에 승객을 태울 수 있게 개조하여 돈을 벌 궁리를 새웠다. 짐칸에 적재 물이 들어갈 자리에 침대를 설치 했지만, 화장실은 설치 하지 않았다. 열악한 위생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병에 앓았다. 또한 공간이 작아 전염병이 쉽게 번졌다. 콜레라와 다른 치명적인 역병들로 캐나다에 도착하기도 전에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예를 들어 1832년에 절반의 이민자들은 캐나다에 도착했을 때 심각하게 병 들어 있었다.


The Multiculturalism of Pioneer Canada (pg26~27)


Tip: 역사에 실리지 않은 영국 외 국가들의 내용, 실제로 캐나다 역사는 영국 문화의 위주로 기록되어 있지만, 다른 민족도 기여를 많이 했다고 기술, 하지만 배척당함



Key Vocabulary


² Better-Known: 유명한

² Account: 기술, 설명, 평가

² Well-to-do: 부유한, 유복한

² Gaelic: 게일어 (스코트랜드 켈트어)

² Celtic: 켈트족의, 켈트어, 켈트 말의

² Distinct: 별개의, 뚜렷한

² Tradition: 전통

² Ignore: 무시하다

² Contribution: 기여, 기부, 기부

² Accurate: 정확한, 정밀한

² Detect: 발견하다, 간파하다

² Discrimination: 차별, 식별, 구별

² Attention: 배려, 주의

² Racist: 인종차별

² Duty: 의무

² Civilize: 문명화하다

² Invisible: 눈에 보이지 않는

² Neglect: 무시, 태만, 경시



우리가 알고 있는 개척 시대에 영국령 북아메리카의 역사 대부분의 논문과 책자들은 유복한 영국인들로 인해 쓰여 졌다. 하지만 Upper Canada에서 살고 있던 대부분의 정착민들은 영국사람이 아니었다. Gaelic이란 언어를 쓰는 스코트랜드, 아일랜드, 미국인들은 자신들을 영국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자신들의 교회 문화를 포함한 자신들의 문화를 캐나다에 정착시켰다. 심지어 개척시대의 캐나다 음악은 영국 노래 이기 보다 셀틱 노래에 가까웠다. 캐나다 역사에서 원주민, 아일랜드, 흑인 이민자들은 배제되었다. 이것이 우리의 역사가 어떻게 쓰여져 있는지 알려준다. 사학자들은 우리의 역사를 창조한다. 만약 한 집단의 기여를 무시하고 다른 한 집단의 기여만을 강조한다면 그 역사는 과연 얼마나 정확 할지 의문이다. 이러한 차별을 우리가 발견 함으로써, 우리는 배척당한 집단에 더욱 집중 하게 된다. 현재 시점으로 보았을 때, 19세기에 캐나다는 굉장히 인종차별이 심했는데, 그 이유는 유럽인들이 세계를 문면화 시킬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851년 6월에 Owen Sound Comet 신문에 영국인들의 운명에 대한 개념을 기사화 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기사 내용은 전체적으로 우월한 앵글로색슨 족이 세계에 문명화를 개척해야 한다는 내용)


이런 개념은 수년 동안, 심지어 19세기 들어서도 학교와 교회에서도 가르쳤기 때문에 다른 문화집단의 기여를 배척한 건 놀라운 일도 아니다. 결과 적으로 아일랜드 사람들이나 원주민들이 캐나다에 기여한 내용은 캐나다 역사 어디에서도 찾아 보기 힘들다. 그리고 이 교과서 같은 책에서 모든 이야기를 다루기엔 한정적이다. 다른 집단들의 기여가 캐나다 역사에 실리지 않는 것은 굉장히 비극적인 일이다. 많은 캐나다인 들은 그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기 때문에 흑인 남자와 여자가 캐나다 역사 초기 때부터 같이 했다는 것을 인지 하지 못할 정도다..


Black Canadians (pg 27)


Tip: 초창기 캐나다에서 흑인들의 삶을 다룬 지문


Key Vocabulary


² Imagine: 상상하다

² Slavery: 노예제도

² Exist: 존재하다

² Revolution: 혁명

² Society: 사회

² Heal: 낫다, 치료하다

² Abolish: 폐지하다, 없애다

² Court: 코트, 법정

² Refuse: 거절하다, 거부하다

² Factor: 요소

² Free: 자유

² Flee: 달아나다, 도망가다

² Throne: 왕족, 왕위

² Militia: 시민군

² Rebel: 반란, 폭동

² Domination: 우세, 지배, 지배하기

² Establish: 수립하다, 제정하다

² Technical: 공업 기술의

² Minister: 성직자, 장관, 공사



믿기 힘들겠지만 17세기 후기나 18세기 New France엔 노예 제도가 있었다. 대부분의 Loyalist (영국 지지자)들은 미국 혁명 후 아프리칸 노예들을 데리고 캐나다에 왔다. 북미 사회에서 노예제도가 남긴 큰 상처는 아물기 힘 들 것이다. 그러나 캐나다에서 노예제도는 북미에서 가장 처음으로 폐지 되었다. 대영 제국이 1833년에 멸망하면서 노예제도는 모든 곳에서 폐지되었지만 Lower와 Upper Canada는 그전부터 노예제도를 반대 하였다.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대부분의 흑인캐나다 인들은 자유로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흑인 노예들은 캐나다에서 자유를 찾기 위해 떠났다. 많은 Loyalist들이 이민을 왔을 때, 많은 흑인 미국인들은 자유로운 남자와 여자로써 캐나다에 왔다. 많은 영국인들은 왕족을 지지했지만 캐나다의 희망의 땅과 그들의 충성을 교환 한 샘이다. Upper Canada에서 1837년도엔 흑인 시민 군들이 William Lyon Mackenzie가 이끈 반란군들과 맞서 싸웠다. 대부분의 흑인들은 반란군이 이김으로써 캐나다가 미국령이 되고 노예제도가 다시 생길 거라는 생각을 했다. 그 후 시민 군의 한 명 중 Josiah Henson 이란 사람은 나중에 교육자와 교회 성직자가 되었고 흑인 사회를 성장시켰다. 결국엔 Dresden에 공업학교를 창설하였다.


The underground Railroad (pg 28~29)


Tip: 흑인들은 미국에서 지하철도를 사용해 캐나다로 탈출했다. 노예제도에서 벗어나기 위한 흑인들의 필사적인 이야기를 다룬 지문


Key Vocabulary


² Refuge: 피난처

² Escape: 벗어나다, 도망가다

² Secretly: 비밀스럽게

² Trail: 길

² Pathway: 오솔길, 소로, 진로

² Sanctuary: 지성소, 성역권, 성소

² Quaker: 퀘이커 교도, 떠는 사람, 미국 펜실베니아주 사람

² Methodist: 감리교 신자, 감리교에 관한, 계통적 분류가

² Risky: 위험한, 무모한

² Severely: 엄하게, 심각하게

² Sin: 죄

² Fugitive: 변하기 쉬운, 도망자, 일시적인

² Half-dozen: 여섯 개

² Fear: 공포

² Acceptance: 수용, 받아들임, 승인

² Experience: 경험

² Renown: 명성, 고명, 유명

² Include: 포함하다

² Poignant: 통렬한, 통한의, 신랄한

² Preacher: 설교자



Upper Canada는 노예제도에서 벗어난 미국 흑인들의 피난처였다. 그들은 “지하 철도 통로”를 사용 하여 비밀스럽게 탈출하여 노예제도가 없는 이 곳에 왔다. 대게는 노예제도가 하느님과 인류에게 죄를 짓고 있다고 생각하는 Quaker (펜실베니아 주 사람)이나 감리교 신자였다. 흑인 운동가 Harriet Tubman은 수 천명의 흑인이 탈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Josiah Henson 한 가족이 모두 지하 철도를 통해 건너갔고, Henry Brown 이라는 노예는 나무상자에 몸을 싣고 버지니아에서부터 필라델피아까지 갔다. 지하 철도를 이용하면 너무나 위험했기 때문이다. 만약에 잡히면 주인에게 보내져 처참한 고문을 당했다. 도망친 노예들은 Upper Canada에서 새로운 삶과 두려움 없는 삶을 꿈꿨다. 많은 이들은 큰 마을에 정착하였지만 자신들의 새로운 흑인 사회를 꾸려 나아갔다. 불행하게도 소수의 흑인들만 캐나다에 허가를 받거나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정부에서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수년 동안 지역 공동체 안에 자신들의 지역 공동체를 만들어 살았다. 많은 사람들은 외딴 곳에 자리를 잡았고 Upper Canada의 개척을 경험하였다. 사실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 어디든 흑인 사회가 있었다. Loyalist들이 이민을 올 때 같이 이민을 온 흑인들은 바닷가에 정착하였다. 유명한 설교자 David George는 1780년대에 1232명과 같이 도착하였다. 지금 바닷가에서 사는 흑인들은 이들의 후손들이다. BC주에는 Saltspring Island를 포함해 여러 흑인 커뮤니티가 있다. 다소의 흑인 정착민들은 노예제도가 있기 전 자신의 삶을 기억하고 Richard Pierpoint처럼 자신의 고향인 아프리카에 다시 돌아가고 싶어했다.



Mary Ann Shadd and the Provincial Freeman (메리 안 셰드와 Provincial Freeman/신문) Pg 30
Key Vocabulary

² Promote: 촉진, 홍보
² Complexional: 얼굴 색의
² Majesty: 장엄함, 폐하,
² Represent: 대표하다, 대변하다
² Provincial: 주의, 지방의
² Freeman: 자유인
² Found: 설립하다, 세우다
² Advertisement: 광고
² Poetry: 시, 시가
² Feature: 특색, 특징, 특성, 특집
² Local: 지역의
² Educated: 교육을 받은, 많이 배운
² Escape: 달아나다, 탈출하다
² Law: 법, 법률
² Slave: 노예
² Status: 신분, 지위
² Advocate: 지지자, 옹호자
² Abolition: 폐지
² Remarkable: 놀랄 만한, 놀라운
² Attend: 참석하다, ~에 다니다
² Widow: 미망인, 과부
² Deny: 부인하다, 거부하다
² Graduation: 졸업
² Issue: 주제, 쟁점, 사안, 문제
² Accept: 받아들이다, 받아 주다
² Bar: 법정
² Practise: (의사, 변호사로) 일하다


1853년에 윈저 온타리오 주에서 Samuel Ringgold Ward이 창간한 Provincial Freeman 신문엔 흑인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Mary Ann Shadd는 이 신문사의 첫 편집자였고 캐나다 신문사의 첫 여성 편집자였다. 다른 신문사와 마찬가지로 Freeman 신문사도 광고 후원을 받고 종종 첫 면에 시도 싣고, 유용한 정보와 의견, 지역/국제 뉴스도 함께 발행하였다. 그녀는 많은 교육을 받았으나 노예 신분으로 강등될 수 있는 법률이 통과 되면서, 미국에서부터 피난을 왔다. 그녀는 흑인들의 교육, 여성 권리, 노예제도 폐지, 등등을 지지하였으며, Freeman의 편집자가 되기 전에 학교를 창설하였다. 그녀의 자녀들이 아직 어릴 때, 그녀는 과부가 되었고 나이 46세에 미국에서 법학대학원에 재학하였다. 여자란 이유로 졸업이 거부되었지만 그녀는 계속하여 중요한 사건들을 쓰고 연설했다. 그녀가 60세가 되었을 때 법정에 허가를 받고 끝내 변호사로 일하게 되었다.


Women in Upper Canada / 어퍼 캐나다의 여성들 pg30~32

Key Vocabulary

² Shift: 변화, 전환
² According to: ~에 따라, ~에 비례하여
² Expectation: 기대, 예상, 가망
² Prejudice: 편견, 침해
² Belief: 신념, 믿음
² Belong: 지배를 받는, 어울리다
² Heritage: 세습, 상속
² Property: 재산
² Pioneer: 개척자, 선구자
² Society: 사회
² In terms of: ~에 말로, ~의 항으로, ~에 관하여
² Marriageable: 혼기에 달한, 결혼에 적당한
² Spinster: 미혼 여성, 노처녀
² Pity: ~을 불쌍히 여기다. 동정
² In part: 어느 정도
² Rely on: ~에 의지하다
² Status: 지위, 신분, 상태
² Intelligent: 총명한, 지성 있는
² Resourceful: 임기응변의 재주가 있는, 변통을 잘하는
² Assume: 예측하다, 가정하다
² Gentry: 신사 계급
² Idolize: 우상화 하다
² Prospect: 전망, 기망, 예상
² Attach: 소속시키다, 붙이다
² Emphasis: 강조
² Duty: 의무
² Wilderness: 황야
² Cooperatively: 협력적이게
² Barrier: 장애물
² Refreshing: 신선한, 활기를 북돋는
² Government: 정부
² Never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² Hire: 고용하다
² Slaughter: 도살
² Keen: 예민한, 민감한, 날카로운
² Maintain: 유지하다
² Abuse: 악용, 학대
² Incident: 사건
² Magistrate: 행정장관, 하급 법관
² Harvest: 수확
² Rural: 농경, 시골의
² Sanitation: 위생


Upper Canada에서 살았던 여성들은 자신의 사회계급에 따라 자신들을 정의했다.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들도 자신들의 계급(영국 세습)에 따라서 기대치, 생활 방식, 편견, 그리고 신념이 정해 진다. 하지만 여성은 자신의 재산이나, 집안일 말고는 일이 없어; 자신들의 성공과, 실패를 자신들의 아버지나 남편의 성공과 실패 여부에 결정한다. 선구자 (개척) 사회에선, 결혼 적절기가 되면 거의 모든 여성들은 결혼을 하지만, 노처녀나 결혼을 못한 여성들은 자신들의 치인가에게 살 곳과 도움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종종 불쌍하게 여겨진다. 지금은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그 당시 좋은 결혼을 하면 여성들에게 신분이 주어졌다. Susanna Moodie, Catherine Parr Traill, Anna Jamieson, Mary O’Brien 등 영리하고, 재치 있는 여성들도 그들 남편의 활동에 대하여 쓰곤 했다. 적어도 신사 계급에서 여성들은 그들의 남편을 우상화했다. 좋은 결혼을 찾는 건 어린 여성의 가족에게도 큰 관심사였다. 로맨틱한 사랑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재보다 덜 중요시 여겼던 그들은, 올바른 배우자를 찾는데 더 강조 하였다. 물론, Upper Canada의 상류층 여성들은 게으르지 않았다. 황야에서 새로운 농장을 만드는 일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상류층 여성들은 하층 계급 여성들로부터 종종 도움을 받고 협력 하였다. 이 행위는 계급간의 장애물을 허물었고,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신선하게 생각했다. 예를 들어, 선구자 여성인 Mary O’Brien은 Upper Canada의 주지사와 정부에서 가장 높은 공무원과 개인적 친분이 있어 집에 초대를 하고도 도우미들과 함께 농장 일을 하였다.
*11월 13일 그녀의 일기 내용 (도우미들과 함께 일한 내용을 기록한 내용)
Mary는 정의에 대하여 민감하게 생각했다. 커뮤니티 표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것은(도우미들과 함께 일을 하는 것) 그녀의 사회계급에서 그녀의 의무였고 남성들의 의무라고 생각 했다. 배우자나 어린아이를 폭행하는 건 이 곳에선 흔했지만 이런 행위가 나타나면 많은 사람들은 놀라곤 했다. Mary O’Brien은 이 같은 사건에 대하여 그녀의 일기장에서 언급했다. (Edward라는 남성이 배우자를 폭행하고 일을 부려먹어서 배우자가 도망갔지만 그는 다른 배우자를 찾았다. 첫 부인이 다시 마을에 돌아왔을 때 그는 그녀의 생명에 위협을 느낄 정도로 폭행을 했지만, 처벌 받지 않았다는 내용)
가난한 이민자 여성은 길고 고된 일을 하는 건 표준이었다. 노동에 분배가 있었지만 불공평 했다. 남자는 집안일을 하지 않았지만, 여자는 집안일, 식재, 수확까지 다 하였다. 모든 개척자 여성들은 수확을 유지하기 위해 일했고 양초와 비누를 만들었다. 때가 되면 어린이도 허드렛일을 해야 하는 농업사회였기 때문에 대가족을 갖길 바랬다. 그 당시 부족한 의학 기술과 정확한 위생적인 출산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모든 여성들에게 출산은 굉장히 위험했다. 혼잡하고 비위생적인 작은 오두막집은 상류층 계급 여성이 고용하는 조산사나 노예를 고용하지 못하는 가난한 여성들이 출산을 할 때 더욱 위험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Colonial Government And The Need For Reform / 식민지의 정부와 개혁의 필요성 pg 33

Key Vocabulary

² Representative: 대표자
² Responsible: 책임
² Term: 용어, 말
² Elect: 선출하다, 선택하다
² Behalf: ~을 대신[대표]하여
² Democratic: 민주주의의
² On the other hand: 반대로
² Influential: 영향력 있는
² Oligarchy: 소수 독재 정치
² Appoint: 임명하다
² Governor: 총독, 우두머리, 주지사
² According to~: ~에 의하면
² Upper Crust: 상류층
² Aristocrat: 귀족
² Ordinary: 평범한, 보통의
² Bulk of: 대량의, 대부분의
² Establish: 설립하다, 수립하다
² Constitutional: 헌법의. 입헌의
² Assembly: 의회, 집회
² Legislative: 입법의, 입법부의
² Council: 의회. 의원회, 협의회
² Citizen: 시민
² Actual: 실제의, 사실상의
² Veto: 거부권, 거부하다
² Regulation: 규정
² Benefit: 혜택
² Canal: 운하
² Speculation: 투기
² Conflict: 갈등, 충돌
² Frustrate: 좌절, 절망
² Limit: 제한적인
² Reform: 개혁


영국령 북미 식민지 정부는 대의정치도 책임정치도 아니었다. 이것들은 중요한 용어인데, 대의정치는 사람들로 인해 선출된 대표자가 그들을 대신해서 법을 제정하는 정치이고 책임정치는 선출된 대표자가 그를 투표한 대다수의 사람들을 만족 시키지 못할 경우 투표에 의해 추방 시키는 정치를 일컫는다. (*대표자=국회의원 정도) 보통 민주주의 정부에선 대의정치와 책임정치 모두 사용하지만 반대로 식민지 정부는 부유하고 영향력이 많은 집단에 의해서 운영된다. 이러한 정치는 “소수 독재 정치”라고 불린다. 영국이 이 독재 정치를 관리 할 총독을 임명했지만, 사실상 그는 그가 원하는 멤버를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총독은 귀족 출신이므로 인구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평범한 농사꾼 보다는 상류층 계급 사람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1791년도에 제헌법에 의하여 Upper Canada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로 인해 Upper Canada와 Lower Canada가 분리 되었으며 입법부로 알려진 법을 제정하는 국회와 총독과 두 개의 의회가 들어섰다. 재산을 가지고 있는 모든 남성들이 투표를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정부가 민주주의 모습을 띠었고 실제로 그리 하였다. 총독과 그가 임명한 의회가 국회에서 제안한 법 혹은 규정을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기 때문에 문제는 제기 되었다. 국회는 국민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학교와 길, 토지개혁과 같은 프로젝트에 돈을 쓰고 싶어 하였으나, 가족맹약의 구성원이었던 의회들은 정부가 토지투기의 문제와 정부/성직자들의 지정지역을 무시하고 운하 개발과 상업향상에 기여하길 바랬다. 당연히 둘간의 충돌은 일어났다. 제한적인 민주주의에서의 삶은 얼마나 절망적인지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선출된 국회의원들은 항상 좌절에 빠져있었고 이것이 개혁을 요구하게 이끌었다.
*1-25 그림을 보면 구성원과 체제에 대하여 이해하기 쉬움


A List of Grievances pg34

Key Vocabulary

² Extraordinary: 기이한, 놀라운, 보기 드문
² Sturdy: 튼튼한, 견고한
² Beggar: 거지
² Parson: 목사
² Priest: 성직자
² Pensioner: 연금 수급자
² Stock: 주식 자본
² Paltry: 보잘것없는
² Complain: 불평하다
² Speculator: 투기자
² Absentee landowner: 부재지주
² Tie-up: 묶어놓다
² Prime: 주요
² Hinder: 방해하다, 막다
² Development: 발전
² Blame: ~을 탓하다
² Disguise: 위장, 숨기다
² Agent: 대리인, 중개상
² Discover: 발견하다
² Content: (크기, 중요성, 심각성 등의) 정도
² Discontent: 불만; 불만스러운 것
² Policy: 정책
² Fed up: 지긋지긋한, 신물이 난
² Grievance: 불만
² Petition: 진정서
² Effect: 효과
² Harden: 강화
² Opposition: 반대
² Radical: 급진적
² Reformer: 개혁자
² Half measure: 고식적인 수단
² Political: 정치적인
² Conviction: 신념, 체포
² Sincere: 진심 어린
² Argumentative: 논쟁적인
² Moderate: 온건한
² Negotiation: 협상
² Debate: 토론, 논쟁
² Approach: 접근하다
² Criticize: 비판하다
² Ransack: 샅샅이 뒤지다, 약탈하다



정착민들은 토지에 대해서 제일 크게 불평했다. 20~21장에서 읽었듯이 정부/성직자들의 지정지역은 도로개발에 방해를 하고 투기자들 (종종 가족맹약의 멤버들)과 부재지주는 토지의 값을 비싸게 매기거나 주요 토지는 점유하였다. 많은 정착민들은 가족맹약에 탓을 돌렸고 분노를 숨기지 않았다. 스코트랜드 토지주선업자 Robert Gourlay가 농부를 대상으로 Upper Canada의 삶에 대해 조사를 하였을 때 그는 그들의 불만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은 정부와 토지 정책에 대해서 신물이 나있었다. Gourlay는 정착민들과 함께 불만사항을 정리하여 진정서를 작성하였으나 체포되었고 나라에서 추방당했다. 정부는 평균적인 농부가 어떻게 생각하던 간에 그들의 불만을 들어줄 기분이나 현재의 정책을 바꿀 생각도 없었다. 하지만 그의 체포는 가족맹약에 대한 반대를 강화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Gourlay의 급진적 개혁가의 자리는 또 다른 스코트랜드인인 William Lyon Mackenzie에 의해 차지되었다. Mankenzie는 고식적인 수단으로 일을 해결 하지 않았다. Gourlay와 마찬가지로 그는 강한 정치적 신념과 다른 이들의 복지에 진심 어린 관심을 갖고 있었다. 빨간 머리에 논쟁적인 그는, 종종 좀더 온건한 개혁자인 Egerton Ryerson과 Robert Baldwin의 의견에 이의를 제기 했다. Ryerson과 Baldwin은 종종 정부와 가족맹약에 대하여 좌절적이었지만, 그들은 협상과 토론을 통하여 이 문제를 개선하길 원하였다. Mackenzie는 신문사를 매입하는 등 좀 더 직접적인 방식으로 접근했다. “The Colonial Advocate”라는 신문에 그는 정부와 가족맹약에 대한 강한 비판을 담은 기사를 발행하였다. 화가 난 어린 가족맹약의 구성원이 Mackenzie 사무실을 샅샅이 뒤지러 왔을 때 그는 그의 뜻을 굽히지 않고 소송을 제기했다. 머지않아 그는 급진적인 변화, 즉 영국에 충성은 유지하되 미국식 정부 도입을 원하는 사람들의 그룹 속 중심에 서있었다. 1828년에 선출된 입법부 의원으로써 그는 개혁운동의 지도자가 되었다.

Political Action and Protest pg35

Key Vocabulary

² Election: 투표, 선거
² Considerably: 상당히, 많은
² Modern: 현대의
² Political: 정치적인
² Rallies: 집회
² Poll: 투표, 선거
² Ballot: 투표
² Declare: 선어, 공표하다
² Intimidate: ~을 협박하다, ~을 두려워하게 하다
² Thugs: 깡패
² Candidate: 입후보자
² Eliminate: 제거
² Honest: 정직한
² Legally: 합법적인
² Protest: 시위
² Guarantee: 보장
² Charter: 헌장
² Thwart: 좌절시키다.
² Attempt: 시도


1830년대부터 캐나다 선거는 많은 변화를 해왔다. 어떤 면에선 현대의 집회는 1-27 그림에서 보여주는 집회와 유사하다. 그렇지만, 초창기 선거에서 일어난 행위를 발견한다면 당신은 놀랄 것이다. 예를 들어, 무기명 투표가 없었다. 투표자들은 (남성만 투표할 수 있음) 자신이 선택한 입후보자를 공개적으로 밝혀야 한다. 표는 구매가 가능했고, 입후보자들의 후원자가 고용한 깡패들에게 위협을 받을 수도 있었다. 많은 사람들은 술이 취한 채 선거에 임하였고, 표를 술과 맞바꾸기도 했다. 추후, 선거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은 제거 되었고 좀더 공평하고 정직하게 개혁되었다. 심지어 캐나다는 대표자들을 다른 나라로 출국 시켜 자신들의 선거를 모니터하게 끔 한다. 하지만 캐나다의 정치적 행위는 과거의 일이라는 뜻이 아니다. 시민들은 합법적으로 정부를 비평할 수 있고 권리와 자유의 헌장에 의거 그들의 행위에 대해 시위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심지어 요즘도 캐나다 시민들의 정부 비판에 대한 시도는 좌절 되기도 한다.


Stirrings in Lower Canada / Lower Canada에서의 분기 pg37


Key Vocabulary


² Melt: 녹이다, 녹다

² Bullet: 총알

² In some respects: 어떤 면에선

² Neighbour: 이웃, 근접한

² Roots: 뿌리, 근원

² Population: 인구

² Adjust: 조절, 순응하다

² Conquest: 지배

² Expose: 노출

² Revolution: 혁명

² Democracy: 민주주의

² Oligarchy: 소수 독재 정치

² Merchant: 상인

² Profit: 이익, 이득

² Maintain: 유지하다, 지속하다

² Wealthy: 부유한

² Seigneurial System: 장원제도 (구 뉴 프랑스의 체제였으며 영주와, 귀족들이 프랑스로부터 구획의 토지를 받았다)

² Seigneurial: 영주의

² Destine: 운명에 있다

² Associate with: ~와 연합된, 조합된, 연상된

² Plague: 역병, 전염병

² Grievance: 불만, 불평

² Advantage: 이익, 우위

² Sold out: 매진이란 뜻도 있지만 뇌물이란 뜻도 있음

² Attempt: 시도

² Union: 연합, 결합, 조합의

² Minority: 소수집단



Upper Canada와 마찬가지로 Lower Canada는 심각한 정치적 문제가 있었다. 어떤 면에선, 이러한 문제들은 미국(English-Speaking Neighbour: 영어를 쓰는 이웃 나라)이 갖고 있던 문제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였다. 언어적, 문화적 근원이 Champlain으로 돌아가는 것 과 함께, Lower Canada의 프랑스 사람들은 영국의 정복에 완벽하게 순응 하지 않았다. 프랑스와 미국 혁명에 대한 개념과 미국 민주주의에 노출이 되어 교육을 받은 프랑스-캐네디언은 민주주의가 아닌 영국 통치를 받아들이기 힘들어했다. 식민지의 지배권은 영어를 쓰는 소수 독재 정치의 상인들과 전 군대 장교들의 손 안에 있었고 이익만이 그들이 교회와 부유한 프랑스-캐네디언과 관계를 유지하는 유일한 이유였다. 장원제도로 바탕으로 한 옛 권력 구조는 천천히 변화하였다. 영주의(귀족) 가족과 교회는 Lower Canada에서 상당한 영향력이 있었다. Louis-Joseph Papineau와 같이 1837년 반란의 지도자들이 될 운명이었던 사람들 마저 영주 출신이었다. St.Lawrence 강가에서는 수 백 년간 동안 정착을 했었기 때문에 북서와 동쪽지역을 제외한 Lower Canada는 Upper Canada에서 일어난 토지 문제는 없었다. 그렇지만, 프랑스-캐네디언들은 다른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영국사람들은 수가 인구 420,000명에 80,000만 명 밖에 되지 않았는데 더 우위에 있는 것처럼 보였다. 많은 프랑스 사람들은 영주와 교회가 영국인들의 관심을 사기 위해 뇌물을 주었다고 생각했다. 1822년에 두 식민지 (Lower, Upper Canada)의 합병과 영어를 공식언어로 지정하려던 영국의 시도는 프랑스 사회에 대한 공격이나 마찬가지였다. 확실한 건, 프렌치(프랑스인)들을 큰 영국 식민지에서 소수집단(불공평하고 차별대우)으로 만드는 것처럼 보였다.


Feelings of Nationalism 민족주의의 감정 pg38~39


Key Vocabulary


² Solve: 해결하다

² Seigneurial system: 장원제도

² Freehold: 자유보유

² Township: (미,캐에서 읍보다 작은) 군구

² British Isles: 영국 (England, Scotland, Wales, Ireland)

² Short-Lived: 수명이 짧은

² Chartered: 승인된, 면허를 받은

² Speculator: 투기자

² Reduce: 삭감하다, 감소하다

² Include: 포함하다

² Discriminate: 차별하다

² Permanent: 영구적인

² Civil list: 왕실비

² Resent: 분개하다

² Revenue: 수익

² Lack: 부족, 결핍

² Vindicator: 옹호자

² Assembly: 의회

² Square off: 싸우다, 투쟁하다

² Republic: 공화국

² Ease: 완화하다

² Tension: 긴장감, 긴장 상태

² Criticize: 비평하다

² Proposal: 제안

² Intimidate: 겁을 주다

² Fan the Flames: 불에 부채질하다/악화시키다

² Protester: 시위자

² Submit: 제출하다

² Resolution: 결의

² Demand: 요구하다



프랑스-캐네디언 사람들은 영국이 많은 수의 영어를 쓰는 이민자들을 캐나다로 들여옴 으로써 “French Problem”을 해결 할 까 두려워했다. (French Problem은 프랑스 사람들이 캐나다에서 영국 정치 제도에 대한 반란과 지배권에 대한 반란, 토지 문제 등등). 정부는 구 장원제도를 동쪽 군구의 토지를 영국에서 온 사람들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영국의 토지 자유보유 제도로 바꾸려고 노력했다. 1834년에 공인된 수명이 얼마 못간 영국-미국 토지 회사는 343,995 헥타르의 동쪽 군구 토지를 120,00 파운드에 매입하였다. 이 회사의 구성원은 모두 토지 투기 자였다. 얼마 후, 퀘벡 주에 콜레라에 전염된 아일랜드 이민자가 캐나다에 왔을 때, 많은 사람들은 영국이 프랑스-캐네디언들을 질병으로 죽일 계획이라고 생각했다. Lower Canada의 개혁자들의 정부 변화와 영국 양조자와 은행장를 포함한 멤버로 구성 된 Chateau Clique의 권력을 감소 시키려던 노력은 좌절 되었다. 그들은 그들의 언어, 문화, 개념 때문에 경제적, 정치적으로 차별 당했다고 느꼈다. 그들은 또한 두 의회의 의회원들의 봉급이 보장되는 정부의 “영국적인 왕실비”를 반대 했다. 프랑스 농부들은 영국 정부가 상업 수익엔 손도 대지 않으면서 토지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는 것에 대해 분개했다. 아무도 영국이 이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관심이 있다는 거에 믿지 않았다. 프랑스인에 대한 차별, 불공평한 조세, 정부내의 권력 부족, 등 이 세 가지의 문제는 Lower Canada의 개혁의 초점이 되었다. Lower Canada에서 급진적인 개혁자들의 지도자인 Louis Joseph Papineau은 영향력 있는 공개 연설자였다. 한때 그는 영국통치의 지지자였다. 그렇지만 다른 지도자들은 프랑스 사람이 아니었다. Wolfred Nelson은 영국 의사였고, Edmund O’Callaghan은 ‘Vandicator’라는 신문사를 창간한 아일랜드 사람이었다. 그들은 의회가 정부 예산의 완전한 권한을 갖길 희망하였고 좀 더 미국식 공화국이 되길 바랬다. 경쟁 신문사와, 정부에선 Chateau Clique와 개혁자들이 서로 헐뜯었다. 영국은 이런 긴장감을 늦추기 위해 별다른 일을 하지 않았다. 1810년도에 식민성은 반프랑스 주의인 James Craig은 총독으로 임명하였고. Craig은 정부를 비평한 사람들을 체포하였고 군을 이용해 프랑스인들을 겁을 주었다. 또한 그는 개혁적인 신문사인 Canadien을 폐쇄시켰다. 1822년에 제안한 Upper와 Lower 캐나다의 합병은 최초 프랑스인들을 마이너리티 (힘없고 약한)로 만드는데 목적을 두었으나. 그들의 분개만 자극 시켰다. 프랑스인들의 항의가 합병을 무산시켰지만, Lower Canadian들은 정부에 안 좋은 감정을 보였다. 1832년 몬트리올에서 영국 군인들이 시위대를 향해 총을 쏘자, 의회에 있는 Papineau와 다른 개혁자들은 “92 결의안”을 총독에게 제출했다. 이것은 식민지 통치의 완벽한 변화를 요구 하는 내용이었다. 영국 식민성의 책임을 맡고 있는 Lord John Russell 이 10개의 결의를 거절하자 Papineau가 이끄는 Patiotes은 공개적으로 정부에 반란을 일으켰다.


The Rebellions of 1837 (1837년 반란) Pg39~41


Key Vocabulary


² Stay in contact: 연락을 하고 지낸다

² Exchange: 교환하다

² Particularly: 특히

² Goal: 목표

² Harmony: 조화, 화합

² Realize: ~을 깨닫다, 실감하다

² Chateau Clique: 왕당파

² Troops: 병력, 군대

² Maritime: 해안의

² In spite of: 그럼에도 불구하고

² Best-laid: 최고로 짜여진

² Revolt: 반란

² Coordinate: 조직화(편성)하다

² Break out: 발생하다

² Liberty: 자유

² Revolution: 혁명

² Parishioner: 교구민

² Skirmish: 소전투

² Wound: 상처, 상처의

² Resentment: 분개

² Linger: 맴돌다, 남아있다



영국령 북미 식민지의 개혁자들은 서로 연락을 주고 받았다. 자신들의 정부와 경제에 대한 견해를 공유했으며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들을 교환했다. 목표는 항상 같진 않았지만 특히 Upper Canada와 Lower Canada의 개혁운동의 지도자들은 친밀했다. 예를 들어, Mackenzie와 그의 추종자들은 미국을 모방하길 바랬다. 만약 한 식민지가 개혁을 성공한다면 다른 식민지에게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거라고 깨달았다. Chateau Clique와 가족 맹약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거의 불가능하고 정부 내부 내에서 개혁을 할 수 없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을 때, Mackenzie와 Papineau는 정부에 무력 공격을 준비하였다. 


영국이 모든 지역을 커버할 병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급진적인 지도자들은 Upper Canada와 Lower Canada에서 모두 반란을 계획 하였다. 해안가에서도 Joseph Howe가 이끄는 개혁 운동이 있었지만, 해안사람들은 참여 하지 않았다. 제일 좋은 계획을 짰음에도 불구하고 Upper Canada와 Lower Canada의 반란은 잘 편성 되지 않았다. 첫 반란은 Lower Canada에서 미국혁명 때 급진주의자의 이름을 딴 ‘Sons of Liberty (자유의 아들들)’에 의해서 일어났다. 


만약에 가톨릭교회가 반란군들을 도와줬더라면 더욱 성공적이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교회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교구민들에게 계속하여 영국에 충성을 하라고 했다. Papineau를 체포 하려고 할 때 반란은 시작되었다. Papineau는 즉시 몬트리올로 도망갔다. St. Denis, St. Charles, St. Eustache에서 일어난 연속적인 소전투와 단결한 교전으로 영국군은 반란군을 정복했다. 


St. Eustache에서 일어난 교전에서 많은 반란군들은 죽거나 다쳤다. 1837년 12월이 되었을 땐, 대부분의 반란군 지도자들과 지지자들은 체포되었고, Papineau는 미국으로 도망쳤다. Lower Canada에서 일어난 반란은 빨리 끝났지만 지금까지도 영국에 대한 분개는 남아있고 이러한 요소들이 퀘벡 정치에도 남아있다.






Rebellion in Upper Canada pg 41~42


Key Vocabulary


² Nationalist: 국가주의자, 민족자결주의자

² Convince: 납득시키다, ~에게 확신시키다

² Reformer: 개혁자

² Situation: 정세, 형세, 상태

² Radical: 급진적인

² Democracy: 민주주의의

² Never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² Distance: 떼어놓다, 멀리하다 (vt)

² Moderate: 온건한 사람

² Responsible: 책임 있는, 책임을 쳐야 할

² Dash: 부딪뜨리다

² Resolution: 결심, 결의

² Appointment: 임명, 지명

² Governor: 총독

² Heavy-handed: 고압적인, 압제적인

² Administration: 행정, 통치, 행정기간

² Bound to: ~하려고 마음을 먹다

² Violent: 맹렬한, 폭력적인, 극단적인

² Reprimand: 견책, 비난

² Election: 선거, 당선

² Advocate: 지지, 옹호

² Treason: 대역죄, 반역죄

² Resistance: 저항

² Minimal: 최소의, 극미한

² Lack: 부족, 결핍

² Ensure: 보장하다, 확실하게 하다

² Strike: 치다, 공격하다

² Virtually: 사실상, 실질적으로

² March: 행진, 행군

² Arm: 무기, 병기

² Ammunition: 탄약

² Arsenal: 무기고

² Tavern: 선술집

² Militia: 예비군

² Skirmish: 소전투

² Obvious: 당연하게, 물론

² Reload: 재장전

² Rear: 뒤, 배면

² Abandon: 버리다

² Retreat: 후퇴, 퇴각하다

² Disguise: 변장, 가장, 위장

² Incident: 사건, 생긴 일



Lower Canada에서는 프랑스인들의 애국심이 개혁자들을 납득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Upper Canada는 얘기가 달랐다. Mackenzie와 다른 지도자들은 미국식의 민주주의를 원했고 이러한 접근은 미국이 적이라고 생각하는 영국 이민자들과의 사이를 벌어지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ary O’Brien와 동등한 사회적 계급에 있는 구성원들도 더 나은 정부를 원했다. 온건한 개혁자들은 John Russel의 10가지 결의의 맞닥뜨림과 1836년에 Sir Francis Bond Head를 총독으로 임명함으로써 좀 더 책임 정부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찾았다. Head의 지지자들은 가족 맹약과 확고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고압적인 정부는 무력으로 응답할 것이라 마음을 먹었다. 의회로부터 비난을 받을 그는, 의사당을 해산시키고 영국에 충성을 지지함으로써 선거에서 당선이 되었다. Mackenzie는 부대와 반란군들을 징집하면서 이러한 패배를 받아들였다. (선거) 동기부여가 무엇이 되었든, Mackenzie와 급진적인 지도자들은 반역죄에 해당하는 계획을 새웠다. Mackenzie는 실제로 반란군들을 싸울 수 있게 훈련 시키는 등 정부에 저항할 수 있는 단체를 조직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힘을 소비하였다. 어떤 군인들을 1812년 전쟁에 참가를 하였지만 두 쪽 모두 군사경험이 턱없이 부족했다. Mackenzie 역시 군사경험이 없었다. 이러한 요소와 결함 있는 계획은 그의 패배를 확실하게 했다. Mackenzie는 Head 총독이 Lower Canada에 반란을 막기 위해 병력을 보냈다는 소식을 듣고 토론토가 무장비 상태였기 때문에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신속한 진격을 함으로써 반란군들이 군대와 무기고에 있는 탄약들을 모두 다 접수 할 수 있을 거라 Mackenzie는 말했다. 또한, Head 총독을 포로를 삼을 수 있을 거라 했다. Mackenzie는 만약 반란군들의 요구가 맞닥뜨리지 않으면 자신의 새롭고 독립적인 정부를 창단하는 걸 계획에 두었다. Mackenzie는 다른 급진적인 지도자들을 함께 하자고 설득을 했지만 그들은 거절 하였다. 더 이상 후원을 받기 힘들어지자, Mackenzie는 Yonge 도로에 위치해 있는 몽고메리의 선술집을 공격하라고 지시하였고, 백마를 탄 그는 직접 공격을 주도 하였다. Yonge 도로를 진격하면서 그의 반란군은 Sheriff Jarvis가 이끄는 소규모의 예비군과 마주쳤다. 첫 번째 소전투에서, 반란군들은 군사 경험이 부족하여 곤욕을 치렀다. Jarvis의 군대는 총을 쏘고 도망갔지만 반란군은 총을 쏘고 장전을 하기 위해 엎드렸기 때문에 뒤에 있는 사람들은 앞에 있는 사람들이 다 죽었다고 생각하는 착각을 불러 일으켰다. 이 혼동으로 반란군들은 소전투를 포기하고 Yonge 도로 위를 따라서 퇴각 하였다. 몽고메리에서의 전투는 MacNab 대령이 이끄는 예비군에 의하여 반란군은 공격 당했고 패배하였으며 Mackenzie는 여장을 하여 미국으로 도망쳤다. Mackenzie는 미국에서 반란군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고 1838년 까지 반란군들의 반란은 계속 되었지만 1837년에 반란은 완전히 실패로 돌아갔다.


Punishing the Rebels Pg42~43


Key Vocabulary


² Mercy: 자비

² Legal Code: 법률

² Prevail: 널리 보급하다, 유력하다

² Prescribe: 규정하다, 처방하다

² Death Penalty: 사형

² Insurrection: 반란

² Justice: 사법

² Concentrate: 집중하다

² Punishment: 형벌, 처벌

² Rehabilitation: 사회복귀, 명예회복

² Judge: 판사

² Severe: 엄한

² Deter: 단념 시키다

² Committing: 범하다, 저지르다

² Similar: 유사한

² Acts: 행위 (범죄)

² Flog: 매질

² Common: 일반의

² Revolt: 반란, 반역

² Publicly: 공개적으로

² Transport: 수송하다

² Voyage: 항해

² Ceiling: 천장

² Cramp: 쪼그려 앉다

² Lock-up: 묶인 채

² Deck: (배의) 갑판

² Facility: 시설

² Ventilation: 환풍기

² Suffocate: 질식

² Labour: 노동

² Plantation: 건설

² Convict: 범죄자



정부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고 실패 한 자들은 정부로부터 자비를 거의 바라지 않았을 것이다. 영국 법률은 식민지에서도 적용되었고 사형은 100개가 넘는 형벌에 적용되었다 그 중에 정부에 대한 반란도 포함이 돼있었다. 영국 사법은 재개보단 형벌에 더 중점을 두었다. 판사들은 빠르고 엄격한 처벌을 함으로써 같은 범죄가 일어나지 않게 단념 시켜준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매질은 흔한 형벌이었다. 1837년 반란 후에 반란군의 주요 지도자는 공개적으로 교수형에 처했고 다른 이들은 버뮤다에 7년 동안 보내졌다. 사실, 운송 과정은 굉장히 엄한 형벌이었다. 영국이나 캐나다에서 버뮤다나 호주를 향한 긴 여정 동안 굉장히 낮은 천장과 자물쇠로 잠겨 쪼그려 가야만 했고 쇠창살이나 창문 너머로 화장실, 환풍기가 없이 체인으로 벽이나 갑판에 묶여졌다. 많은 이들은 열대의 더위를 이기지 못하고 질식하여 병에 들거나 죽었다. 목적지에 도착과 동시에 그들은 영국의 노동 노예가 되어 밥도 적게 배정되는 상태에서 건설이나 정부의 계획 사업을 위해 일했었다. 많은 호주의 초기 정착민들은 범죄자였다.


Lord Durham’s Report pg43~44


Key Vocabulary


² In the wake of: ~의 결과로써

² Administer: 관리하다, 다스리다

² Cabinet: 내각

² Commission: 위원회

² Investigate: 조사하다

² Earl: 백작

² Aristocrat: 귀족

² Politician: 정치가

² Appoint: 임명하다

² Straightforward: 쉬운. 수월한

² Prejudice: 차별적인

² Irritable: 예민한

² Possess: 소유하다, 점유하다

² Blend: 섞이다, 합류하다

² Empire: 제국

² Patch up: 수선하다 (맺다)

² Froze: 얼다 (멈추게 하다)

² Progressive: 진보적인

² Leniently: 관대하게

² Pardon: 관대하다, 용서하다

² In Exile: 추방된

² Dictator: 독재가

² Flout: 멸시, 경멸 당하다

² Beneficial: 이익

² Legitimate: 합법적인

² Resign: 포기하다, 항복하다

² Forerunner: 선구자

² Confederation: 연합

² Assimilate: 동화시키다, 적응시키다



1837년 반란이 있은 후, 영국은 예전 방식의 통치를 바꿔야 한다는 걸 꺠달았다. 영국 내각은 이 상황을 조사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위원회를 창단했다. 이 위원회는 더함 백작인 John Lambton이 이끌었고, 그는 귀족이었으며 개혁 정치가로써 캐나다의 총 총독으로 임명 되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그의 임명은 수월 하지 않았으며 더함은 머지 않아 자신이 절망적인 상황에 놓여 져 있다는 걸 알아 챈다. 더함은 자신의 부인의 도움을 받아 1838년 봄에 도착하였다. 차별적이고 예민했던 그는 어느 정도의 권력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다른 총독들은 지역 파벌과 맹약에 빠르게 합류 했고 더함은 독립적인 강력한 제국의 대표로 보여졌다. 그는 심지어 미국까지 가서 관계를 맺고 이것으로 인해 미국 북쪽에서부터 반란군을 도와주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더함은 부유했지만 굉장히 진보적이었다. 그는 Charles Buller, Thomas Turton,과 Gibbon Wakefield를 그의 국원으로 임명하였고, 더함은 대부분의 포획한 반란군들을 최대한 관대하고 용서해 주었고 Papineau는 추방 당한 채 있으라고 충고를 받았다. 불행하게도, 더함은 의회가 없었다면 독재나 다름 없었다. 또한, 영국 법률은 멸시 당하였고, 더함의 행위가 이익을 가져다 주었지만 반란군과 싸우거나 그들의 재산이 반란군으로부터 파괴된 사람들은 분개했고 그들은 영국에서 그에 대해 합법적으로 불만을 토해 낼 수 있었다. 더함은 캐나다로부터 미약한 지지를 받게 되자 포기하고 영국으로 돌아갔다. 그 시점에 그의 보고서는 끝이 났고 식민지들은 하나로 뭉치고 책임 정부가 필요 하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영국령인 북미는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하였지만, Lower Canada에 살고 있던 프랑스인들은 받아 들이지 않았다. 더함의 프랑스인들에 대한 차별은 유명했고, 그의 목표는 연합을 통해 프랑스인들이 영국 문화에 동화 되길 원했다.


Union and Beyond pg44~45


Key Vocabulary


² Resign: 사임하다, 포기하다

² Correctly: 정확하게, 올바르게

² Achieve: 성취하다; 획득하다

² Form: 형태, 형식

² Recommendation: 추천

² Liberal: 자유주의, 진보적인

² Internal Affair: 내부적인 일

² Affect: 영향을 주다

² Executive: 행정부

² Legislative: 입법부

² Substantially: 상당히

² Cabinet: 내각

² Evolve: 발달하다

² Senate: 의사당

² Successor: 후계자

² Basis: 기반

² Unwilling: 내키지 않은

² Institute: 실행에 옮기다

² Complicate: 복잡한

² Particular: 특히

² Constitution: 헌법

² Implementation: 이행, 수행

² Merchant: 상인

² Peer: 동료, 친구

² Unity: 연합, 통합

² Capital: 수도

² Linger: 머물다



더함은 사임 하고 영국으로 돌아 온지 얼마 안되 숨을 거두었다. 그는 민주주의 형식이 도입되지 않으면 캐나다에서 평화는 찾기 힘 들 것이라고 말했다. 책임 정부를 만들기 위한 더함의 제안은 그와 Gibbon Wakefield, 개혁 지도자들; Robert Baldwin, Louis Lafontained의 진보적인 사상에서부터 초래했다. 


더함이 제안한 책임 정부는 완전한 민주주의나 독립적이 아니었다. 당선된 의회는 세금제도라 던지 국내 사정에만 권한을 갖게 되고 영국은 외교권과 군사를 통치하게 되는 방식이었다. 또한, 더함은 행정부와 입법부가 큰 변화를 해야 한다고 했다. 내각이 되는 행정의회는 의회당 구성원들 중에 선출되어야 하고 입법부는 더 이상 법을 만들지 못해야 한다고 했다. 입법의회는 지금이 우리가 말하는 의사당이다. 


더함의 제안은 지금 우리의 정부 시스템 이었으나 그 당시엔 꺼려졌고 실행에 옮기기 불가능했다. 더 말하자면, 반란의 결과로써 1843년까지 Lower Canada의 프랑스-캐나다인 대표자 (의원)들은 대변할 권리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군데서 (Lower, Upper) 개혁 지도자들은 책임 정부의 도입을 진행하기 위해 힘썼다. 더함의 연합 제안은 후계자인 Sydenham과 영국으로부터 받아 졌다. 


부유한 상인이었던 그는 교통과 개발에 굉장히 관심을 보였고 특히, 도로와 운하 개발에 관심이 많았다. 이러한 개발은 파벌과 가족맹약에겐 굉장히 우호적이었으나 프랑스-캐네디언에겐 그렇지 못했다. 영국정부로부터 연합을 시키라는 지시를 받은 Sydenham은 Lower Canada에서 시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연합을 시켰고, 캐나다는 끝내 1840년도에 Montreal을 수도로 지정하고 Lower와 Upper Canada가 연합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결과는 프랑스의 도움과 참여 없이 이뤄 진 것이며 지금까지도 많은 문제들을 초래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가입/로그인 후 댓글 남겨 주세요.

로그인/회원가입
Total 51건 1 페이지
세컨더리-자료실 목록
  제목 작성일
43 대학진학 2023-05-04 13:23:20
28 학업관리 2024-03-22 10:02:41
53 대학진학 2024-05-28 17:13:36
38 대학진학 2024-05-14 09:16:09
37 대학진학 2024-05-14 09:10:34
36 대학진학 2024-05-14 09:08:17
35 TOEFL,SAT,AP 2024-04-27 12:46:15
34 TOEFL,SAT,AP 2024-04-27 12:44:10
31 학업관리 2024-03-22 14:47:56
30 학업관리 2024-03-22 14:35:53
29 학업관리 2024-03-22 10:12:42
27 학업관리 2024-03-06 13:03:35
26 학업관리 2024-03-06 12:44:46
25 학업관리 2024-03-06 12:35:56
24 학업관리 2024-03-06 10:42:12
23 학업관리 2024-02-20 15:12:55
22 학업관리 2024-02-20 15:05:45
21 학업관리 2024-02-20 13:51:21

검색

회원로그인


사이트 정보

접속자집계

오늘
17,812
어제
17,339
최대
17,812
전체
1,238,307
Copyright © IGE All rights reserved.